국내용과 해외용으로 구분된 건설제도로는 건설산업의 질적 성장에 한계가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중견중소기업이 국내에서 일하는 방식 그대로 해외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스탠더드를 국내 시장에 도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건설시장은 해외건설시장과의 호환성이 없어 질적 성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건설 호환성은 국내에서 일하던 방식 그대로 해외에 나가서도 일을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내 건설과 해외 건설이 별개처럼 존재하다보니 시너지가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국내와 해외 간 호환성이 없다보니 해외경험이 풍부한 대기업 위주로 해외수주가 몰리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실제로 올해 3분기까지 국내 대기업의 해외건설 수주 누계는 36조원으로 같은 기간 국내 건설수주액 58조원(추정)의 60% 이상을 차지했다.

 

해외수주 쏠림현상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중소중견기업의 해외진출이 확대돼야 하지만 현실은 여의치 않다.

대기업의 경우 해외건설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어 국내와 해외에서 상호보완적인 수익 구조를 갖출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한 중소중견기업의 경우 국내건설시장이 어려워지면 동반 침체에 빠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해외와 국내 건설의 호환성을 높이기 위해 정부가 적극 제도개선에 나서야 한다는 입장이다.

지금과 같이 정부에서 공사 물량내역서를 제공하는 발주 구조에서는 해외건설시장과 호환성을 가지기 어렵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공공부문에서 상세한 공사 내역을 제시하면 건설업체는 전략적으로 단가를 제시하는 입찰 구조다.

건설업체 입장에서는 편할지 모르지만 해외건설 경쟁력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정밀 견적 노하우를 쌓을 수 있는 기회가 박탈되는 것이다.

 

해외의 발주제도는 기본적으로 총액계약이기 때문에 건설업체가 정밀하게 견적을 낸 후 그 금액을 바탕으로 입찰에 나서게 된다.

해외기업은 자국에서 얻은 입찰 노하우를 해외에 그대로 가지고 나갈 수 있으므로 잘못된 입찰로 인한 리스크도 훨씬 줄어들게 된다.  

 

건설산업은 수많은 이해관계자가 복잡하게 얽혀 있어 제도개선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업체의 경우 정밀 견적으로 바뀌면 시간과 비용면에서 중소중견기업이 감당하기 어렵다는 분석도 있다.

정부 입장에서도 현행 계약제도를 운영함으로써 매년 25% 정도의 예산 절감효과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제도개선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최석인 연구위원은 “건설산업은 기본적으로 제도와 규제 등 공공의 룰에 의한 산업이기 때문에 변화가 어려운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지금과 같은 건설침체기에는 설계,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파이낸스 기법 등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역량을 높이고 제도개선을 위한 투자가 필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