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조태민 기자] 최근 건설자재 가격이 급등한 가운데 건설자재 수급 불균형을 줄이고 가격 변동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AI 기술을 활용한 건설자재 예측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 같은 주장은 5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이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개최한 ‘건설자재 수급 여건과 정책 개선 방안’ 세미나에서 나왔다.

이날 세미나에서 발표를 맡은 건산연 박철한 연구위원에 따르면 지난 3년간 건설용 중간재 물가지수는 35.6% 오르면서 생산자물가지수 상승률(22.4%)을 웃돌았다.

특히 건설자재 중 건설공사 투입 비중이 가장 높은 레미콘과 시멘트 가격은 지난 3년간 각각 34.7%, 54.6% 올랐다고 박 연구위원은 덧붙였다. 

다만 올해는 고금리·고물가의 영향으로 건설경기 부진이 예상됨에 따라 건설자재 수요도 감소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특히 주요 건설자재 가운데서는 주택공사 물량 감소 영향으로 레미콘의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클 것으로 전망했다.

두 번째 발표를 맡은 건정연 박선구 연구위원은 건설경기 부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시장 정상화를 신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는 △건설자재 수급 및 가격 변동에 따른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건설자재 수급협의체 운영 △건설자재시장 정기조사 도입 △관급자재 수급 정상화를 위한 제도 개선 △AI 기술 등을 활용한 건설자재 예측시스템 개발 등을 제시했다.

이 밖에 이날 진행된 토론에서는 서울대학교 박홍근 교수를 좌장으로 ㈜산군 김태환 대표, 국토지주택공사(LH) 주택기술처 엄영준 팀장, 국토교통부 우정훈 건설산업과장, 이현종 대한건설자재직협의회장, 고려대학교 조훈희 교수, YTN 이승윤 기자 등이 패널로 참여해 건설자재 수급 상황과 시장 발전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LH 엄영준 팀장은 “건설자재 수급 불안문제는 가격 상승의 문제뿐만 아니라 품질 저하로도 이어지는 심각한 일”이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급 안정화 방안은 필수”라고 말했다.

고려대 조훈희 교수는 “영국의 경우 재무부에서 5년 단위로 인력수급 등을 예측해 자재수급 상황을 미리 반영하고자 한다”며 “수급안정화를 위해서는 정부의 일관성 있는 정책과 태도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국토부 우정훈 과장은 “자재산업은 그동안 건설산업과 다른 영역으로 다뤄지면서 관리할 수 있는 제도적 수단이 없었다”며 “앞으로는 건설자재 관련 부처와 협의를 통해 공정가격 협의체를 구성하고 수급 불안정 상황이 일어나지 않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