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운영체계 개선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감사원이 항만운영 효율성·전문성 제고를 위해 부산·인천·울산 항만공사(PA)를 통합 운영해야 한다는 의견을 국토해양부에 전달했기 때문이다.

항만공사 및 관련업계는 감사원 의견에 대한 직접적인 대응을 자제하면서, PA통합은 아직 시기상조라는 입장이다.


감사원은 21일 발표한 ‘컨테이너부두공단 및 울산항만공사에 대한 감사 보고서’에서 부산·인천·울산 등 각 항만별로 PA를 설립해 조직 및 인력이 비효율적으로 운용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다른 공기업과 비교해 임원 및 지원부서 비율이 과다하다는 것이다.

감사원에 따르면 항만공사 평균 임원비율은 14.32%로 24개 공기업 평균(0.37%)보다 24배 높게 나타났다.

지원부서 인원비율도 평균 23.96%로 공기업 평균(9.21%)보다 2.6배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 감사원은 각 항만을 연계해 항만시설 이용효율을 높이고 과당경쟁을 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08년 부산항 컨테이너 처리실적은 적정하역능력을 초과한 135.3%인 반면 광양항은 33%에 불과해, 효율적인 항만시설 이용이 저해되고 있다는 것이다.

감사원 관계자는 “한국공항공사와 같이 전체 항만공사를 통합 운영할 경우 산항의 적체된 컨테이너 화물을 광양항에서 처리토록 유도할 수 있어 항만시설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밝혔다.
 

이같은 감사원 의견에 대해 항만공사 및 관련업계는 각 항만공사의 통합은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다른 공기업에 비해 임원 및 지원부서 비율이 과다하다는 감사원 지적은 개별 공기업의 역할이 각자 다르고 항만공사가 소규모 조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을 간과했다는 것이다.

현재 △부산PA 136명 △인천PA 133명 △울산PA 43명 등 각 PA는 소규모 정원(공기업 평균 3485명)으로 운영되고 있다.


또 각 항만공사를 하나로 통합하는 것은 현 실정을 고려할 때 아직 시기상조이며, 통합 항만공사를 설립하더라도 화물 처리를 정책적으로 분배할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어느 항만에서 화물을 처리할 것인가는 개별 선사의 독자적인 영역으로 정책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니라는 것이다.


항만 관계자는 “항만공사 도입 취지는 개별 항만시설 운영에 민간 경영기업을 도입해 자율성과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며 “통합 항만공사를 설립해 전국 항만을 통합 관리하는 것은 항만공사 설립 취지에서 벗어나는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항만시설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부산·광양항에 동시에 입항하는 선박에 대해서는 항비를 면제하는 등 항만간 협력관계를 강화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