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조수영 기자] 건설 현장의 사망 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50억 원 미만 소규모 현장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 같은 주장은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최근 3년간의 건설업 사망 사고를 분석한 결과 나왔다.

건산연은 7일 국토교통부의 2020~2022년 CSI 데이터를 분석해 ‘CSI 자료를 활용한 국내 건설업 사망사고 심층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건산연 분석 결과 건설업 사고사망자 중 다수가 민간공사 현장, 50억 원 미만의 소규모 사업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간 발생한 건설업 사고사망자 739명 중 ‘민간공사 현장’은 전체의 69%, ‘50억 원 미만의 소규모 공사’는 전체의 48%로 각각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사고유형별로는 △떨어짐 50% △깔림 19% △물체에 맞음 9% 세 가지가 전체의 78%를 차지했다.

세 유형 모두 주요 원인은 ‘작업자의 단순과실’이었고, 다음으로 많은 원인은 ‘부주의’였다.

건산연은 이에 대해 ‘안전교육 강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주요 사고유형별 사고객체를 분석한 결과 ‘떨어짐’ 사망사고의 36.3%는 ‘가시설’에서 발생했다.

이에 따라 가시설이 설치되는 건설 초기에 안전점검을 강화하고, 시스템 비계 지원을 확대하는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건산연은 지적했다.

또 ‘깔림’ 사망 사고 34.1%와 ‘물체에 맞음’ 사망 사고 37.9%는 ‘건설기계’에서 발생해, 현장 건설기계에 대한 지침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건산연은 건설업 사망 사고에 대한 ‘복합 분석’도 실시했다.

그 결과 ‘50억 원 미만’의 ‘민간’ 소규모 공사에서 발생하는 ‘떨어짐’으로 인한 사고사망자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에 따라 떨어짐 사고 방지를 위한 안전관리 대책이 민간 소형 사업장 중심으로 강화돼야 한다고 건산연은 강조했다.

이 밖에도 보고서에는 작업 프로세스, 공정률, 사고사망자 연령 등 기타 특성에 대한 분석이 담겼다.

건산연은 앞으로 CSI 자료가 건설사고를 줄이는 데 활용되기 위해서는 누락되는 정보 없이 사고에 대해 상세히 입력돼야 하며, 추가적인 자료 수집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건산연 이지혜 연구위원은 “건설업 사망 사고는 발주유형, 공사규모 등 사고 특성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사고 유형에 따른 원인 등도 모두 다르다”며 “사망 사고와 관련한 다양한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안전관리 방안을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