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조태민 기자] 국내 엔지니어링산업이 고부가가치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정부와 산업계, 유관단체 등이 청년 엔지니어 유입과 이탈 방지를 위한 추진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를 위해 단기적으로는 제한적인 건축사 시험 응시자격, 수직적 조직문화 등을 개선하고 장기적으로는 정책의 지속성을 유지하고 협력적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 같은 주장은 지난달 31일 E&E포럼(Engineering & Engineers Forum)이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개최한 ‘젊은 엔지니어 유입과 성장기반 구축 세미나’에서 제기됐다.

이날 세미나에서 발표를 맡은 세종대 김한수 교수는 “현재 건설현장은 20대 건설인력이 20년 전 대비 74.9%나 감소해 인력 부족으로 은퇴한 인력을 다시 채용하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는 그동안 정부·건설 관련 기관·단체가 지원책을 실천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근본적 요인으로 관심 부족과 실행력 부족을 꼽았다.

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책의 지속성과 협력적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것이 관건”이라며 △엔지니어링산업에 대한 미래 성장 비전 제시 △청년 엔지니어를 위한 정책·제도 개선 △수평적 근무여건 조성 등 4대 추진전략과 14개 세부 추진 과제를 재시했다.

이 밖에 이날 진행된 토론에서는 손병석 전 국토교통부 차관을 좌장으로 한양대 안용한 교수, 도화엔지니어링 손영일 대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성유경 연구위원, 종합건축사사무소 가람건축 박춘하 대표 등 여러 분야의 전문가가 참석해 청년 엔지니어 유입과 이탈방지를 위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한양대 안용한 교수는 “인재 유입을 위해서는 산업계와 학계의 협력이 필요하다”며 “학교는 엔지니어링 관련 대학원을 활성화하고 업계는 금액적 지원을 통해 함께 젊은 엔지니어를 육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현재 5년제 건축학과만 응시할 수 있는 건축사 시험 자격의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춘화 대표는 “청년들이 호소하는 낮은 임금과 많은 업무량은 현재 어려운 건설시장의 경기 때문”이라며 “이를 해결하려면 민간설계에 대한 대가 기준이 먼저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