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최지희 기자] 코로나19 유행 이후 서울 시내 대중교통 이용은 32% 감소한 반면 공유교통은 24%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기술연구원은 1~4월 서울 시내 교통 통행 변화추이를 분석한 ‘코로나19로 인한 통행 변화, 그리고 포스트코로나에 대비한 서울 교통정책방향’ 연구결과를 24일 발표했다.
 

우선 서울 시내 통행은 4월까지 도로교통, 대중교통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코로나19 확진자수가 급격히 증가한 2월 4주~3월 1주 동안 가장 큰 감소세를 보였다. 
도로교통량은 2월 4주부터 급격히 줄어들기 시작해 3월 1주에는 전년 동월 대비 8.4% 감소했다.  
지하철과 버스 이용자 수는 각각 35.1%, 27.5%씩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교통량과 마찬가지로 전국 확진자가 급증한 2월 4주~3월 1주 감소율이 가장 컸다.
반면 따릉이, 나눔카 등 공유교통은 3월 1주 기준 지난해 대비 각각 23.3%, 29.5% 증가해 코로나 발생추이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서울기술연구원은 설명했다. 


서울기술연구원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한 단기적인 대책부터 중장기적인 정책 수립과 실행이 필요하다고 내다봤다.
단기적으로는 한정된 대중교통 인프라 속에서 시민이 감염병으로부터 안심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방역을 철저히 하는 동시에 교통 수요를 분산할 수 있는 정책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짧은 시간에 대중교통시설을 확충하는 것은 사실상 어려운 만큼 우선 대중교통 혼잡도 관리수준을 기존 150%에서 100~130%로 축소하고 출퇴근 때 실제 혼잡도가 이를 넘지 않도록 재택, 원격근무, 시차출퇴근제 등 비대면 업무방식 도입을 의무화해 통행수요를 분산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 현재 서울시가 추진 중인 공유교통-대중교통 연계 서비스, 버스 자율주행 차량 등 비대면식 언택트 교통 플랫폼의 조기 도입을 제시했다.

 

중장기 정책으로는 개인위생까지 고려한 대중교통 시설 확충방안과 이번에 새롭게 가능성을 확인한 공유교통 활성화를 위한 도로구조 개편방안을 제안했다.
특히 도로구조의 개편을 통해 보행공간과 함께 자전거도로, 개인형 이동수단(Personal Mobility) 전용차로를 확대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최근 도로교통법 개정으로 킥보드 등의 자전거도로 진입이 가능해진 만큼 인프라 조성에 대한 조속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서울기술연구원 관계자는 “서울시는 수도권 교통의 중심지로서 파급효과가 큰 만큼 안전한 대중교통환경을 조성하되 이번에 새롭게 인식된 공유교통의 활성화 정책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