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에 대한 강도 높은 구조조정이 예견되고 있는 가운데  건설산업의 구조조정은 파급효과를 고려, 산업기반 재편 및 체질개선이 병행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김현아 연구위원은 건설동향 브리핑을 통해 “민간 건설시장 부실을 해소를 위해서는 부동산 시장의 정상화가 필요하다”고 전제하고 “시장 건전화를 위해서는 건설산업 구조조정과 함께 산업기반 재편 및 체질개선이 병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구조조정의 전후방 파급효과를 고려, 중견기업들의 산업 내 역할을 감안할 때 건설산업의 구조조정은 단계적, 점진적으로 진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김 연구위원은  현재 대형 건설사들은 사상 최대의 해외건설 실적에 힘입어 경기침체를 극복해 나가고 있으며, 주로 관급공사 수주에 의존하고 있는 중소기업들도 4대강 사업 등 정부 재정투자 가 확대돼 사업 참여기회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라는 것.


그러나 이러한 현실에 비해 민간 건축경기 비중이 높은 중견기업들은 해외 및 관급공사 참여 기회를 갖지 못한 상황에서 부동산 경기침체가 장기화 돼 구조조정의 최우선 대상으로 부각되고 있는 문제점을 김 연구위원은 지적했다.


이는 최근 건설산업 위기 요인이 경기적 요인 외에 정책적 요인이 중첩된 효과가 크다는 지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중견 건설기업이 부동산 시장에 지나치게 의존해 스스로 위기를 초래한 것이 사실이나 잦은 정책변화와 과도한 기업 채무보증을 요구한 금융기관의 대출관행 등 시장환경이 미친 영향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 김 연구위원의 설명이다.


특히 변동성이 높고 시장 조절 성격이 강한 부동산 관련 정책은 시장의 불확실성과 변동성을 확대, 산업기반을 취약하게 하고 있다는 것이다.


김 연구위원은 2004년 이후 확대된 최저가 낙잘제가 민간 건축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건설업체들의 부담을 가중시키면서 최근 기업경영 위기의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을 예로 들었다.


건산연 김현아 연구위원은 “건설업계 구조조정은 건설업체의 체질개선을 유도, 경쟁력 강화 방안이 병행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