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들이 공모형 PF사업 추진을 두고 진퇴양난의 상황에 처했다.

경제전망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무리하게 PF사업을 추진하는 것도, 위약금을 물고 철수하기도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용산 서부이촌동 코레일 차량기지(55만㎡)를 복합 개발하는 31조원 규모의 용산 국제업무지구가 PF 자금 조달이 여의치 않아 좌초될 위기에 처해 있다.

코레일이 1조원 규모의 지급보증 요구에 대해 삼성물산 등 건설사들은 반발하면서 갈등이 수면 위로 드러난 것이다.


고양 삼송 브로멕스 사업도 사업추진에 애를 먹고 있다.

건설 투자자로 참여하고 있는 우림건설이 지난해 워크아웃에 들어간데 이어 2일 남양건설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기존 건설사의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

 
수원 광교비즈니스파크 PF사업 민간사업자 공모도 두 차례 유찰되면서 사업 추진이 불투명 한 상황이다.


이처럼 PF사업 추진이 지체되면서 건설사의 사업 참여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위약금을 물고 사업을 포기하기도, 보증 등 경제적 부담을 안고 사업을 계속 추진하기도 버거운 상황이다.

 

건설사들은 프로젝트 사업성·수익성 보다 사업에 참여하는 건설사의 재정상태 및 지급보증에 의존하는 국내 PF금융 구조에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시행사가 충분한 자금확보 없이 시공권을 조건으로 건설사를 끌어들여 사업을 추진하는 행태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내년부터 상장사를 대상으로 국제회계기준(IFRS)이 의무적으로 적용됨에 따라 건설사의 PF사업 참여가 신중해지고 있다.

 

현행 기업회계기준은 PF사업 부채 전환 가능성이 80% 이상인 경우에 우발부채로 계상하지만, IFRS에 따르면 부채 전환 가능성이 50% 이상이면 부채로 평가된다.

 

부채비율이 급등할 경우 CP, 회사채 등 건설사의 유동성 확보역량이 제한될 수 있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현재 다수의 건설사들이 자체적으로 PF사업 추진 여부에 대한 손익을 검토하고 있다”며 “부동산 전망이 불투명한 상태에서 무리하게 PF사업을 추진하는 것을 두려워 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