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인 굴삭기 덤프트럭 등 건설장비의 해외시장 진출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국토해양부 등 정부가 나서서 건설장비의 해외시장 진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건설업체의 해외시장 진출은 두드러지게 늘고 있는 반면, 해외 현장의 건설장비는 대부분 해외 현지의 외국인 장비에 의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건설업체가 해외 공사를 수주하면서도 해외 건설현장에 국내 건설장비 업체를 데려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공사 수주 업체가 국내 건설장비업체를 동반하지 못하는 것은 해외 발주처가 국내 장비업체의 영세성을 빌미로 공사 참여를 꺼려한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잃은 기회손실은 연간 4조7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2015년에는 200조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건설 장비의 임대 사용료는 공사금액의 7~15%를 차지하고 있으면 업계에서는 통상 10%로 계산하고 있다.
지난해 47억7000억 달러의 해외 수주를 달성, 공사가 완료된 것으로 가정하면 외국인 건설장비 업체에 4조7000억원을 헌납한 셈이다.


특히 해외건설협회는 2015년 해외수주 목표액을 2000억 달러로 잡고 있어 해외 현지 장비를 사용함으로써 잃는 손실액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 같은 기회손실 방지를 위해 업계에서는 우선 건설장비 임대업체의 대형화와 법인화 그리고 정부가 장비업체의 신인도를 보증해주는 일련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건설장비 제조업체 한 관계자는 “건설 장비가 해외시장에서 소외되고 있는 것은 국토부의 무관심 때문”이라고 지적하고 “국토부가 나서서 건설장비업체의 법인화 대형화 등 해외진출 방안 모색에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건설장비 사용자 단체인 대한건설기계협회 한 관계자는 “장비업체들이 해외 공사에 참여해 수익 창출과 외화 획득 도움이 된다면 얼마나 좋겠냐”고 반문하고 “국토부의 무신경에 방치돼 정부가 인증하는 장비업체의 탄생과 해외진출은 현재로서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라고 말했다.


국토해양위 정희수 의원은 “건설장비 제조사 단체와 사용자 단체, 그리고 국토부가 머리를 맞대면 해외 동반 진출 등 ‘윈-윈’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 것”이라며 “국부의 간접 유실을 막기 위해 조만간 관계자들을 불러 대책 마련 논의를 가질 방침”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