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박채원 기자]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드론 활용 항만시설물 점검체계를 개발했다.

 

건설연은 드론과 인공지능(AI) 분석기법을 활용해 항만시설물의 손상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점검체계를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항만시설물은 우리나라 수출입 화물 물동량의 90% 이상을 처리하는 핵심적인 사회기반시설이다.
하지만 2020년을 기준으로 30년 이상 경과된 시설물이 284개소로 26%에 해당하며, 2040년에는 80%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항만시설물의 노후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한편,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 발생 가능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노후 항만시설물 점검 및 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설연은 항만시설물 점검에 드론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점검체계를 개발했다.
건설연이 개발한 드론 활용 항만시설물 점검체계는 시설물은 물론, 점검자 안전까지 확보할 수 있다.
드론으로 촬영된 영상을 AI가 분석해 정량적인 평가기준을 마련함으로써 평가체계의 신뢰성 또한 제고했다.


드론 활용 항만시설물 점검체계에서는 날개가 고정된 비행기 모양의 고정익 드론이 150m 미만의 높은 고도에서 영상을 촬영해 항만 내 전체 시설물의 형상 변화를 점검하고 평가한다.
헬리콥터 모양의 회전익 드론의 경우 시설물에 7m까지 접근해 항만시설의 균열, 파손, 부식 등 손상을 자세하게 점검하고 평가한다.


드론으로 근접 촬영한 점검영상의 경우 점검자의 육안에 의한 판단이 아닌 AI 기법을 통해 손상 발생 정도를 정량적인 수치로 분석해야 해 정량적 평가기준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건설연은 정량적 평가기준을 수립하기 위해 인천항만공사(IPA), 국토안전관리원, 항만시설 진단‧점검업체, 드론운용기업 등을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해 현행 점검지표 및 평가기준을 드론 점검체계에 적합하도록 개선했다.

 

개발된 드론 활용 항만시설물 점검체계에서는 사용연수 경과에 의한 자연적인 ‘열화손상’과 선박, 파랑 등에 의한 ‘외부요인손상’으로 손상평가 점검지표를 이원화했다.


건설연은 자체 보유한 학습데이터를 바탕으로 AI 분석 모델을 적용해 열화손상, 외부요인손상 등을 평가했을 때 90% 이상의 정확도를 확보했다.


건설연 김병석 원장은 “개발된 드론 활용 항만시설물 점검체계는 기존의 재래식 점검방식에 비해 빠르고 안전하게 점검할 수 있는 실무적인 방안으로서 항만시설물과 점검자의 안전을 모두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