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임진택 기자] 통합 도시·국토계획 수립에 데이터 활용이 확대돼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디지털 대전환 시대 공간정보산업 도약을 위한 대토론회’가 20일 국회의원관에서 열렸다.
이번 토론회는 국회·국토교통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가 주최, 주관하고 한국국토정보공사(LX)가 후원했다. 


토론회에서는 데이터 기반의 통합 도시·국토계획의 필요성이 집중 부각됐다. 
서울대 이제승 교수는 ‘공간정보 기반의 국토도시계획’이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서울시의 생활이동데이터처럼 밀도가 높은 공간정보를 활용한 도시계획 수립이 확산되는 추세”라면서 “이를 통해 기후변화와 탄소중립, 수도권 과밀과 지방 소멸, 뉴노멀 시대의 정주환경에 관한 효율적 의사결정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연세대 김갑성 교수가 좌장을 맡은 전문가 토론에서 전주시 김종성 신성장사회연대경제국장은 LX와 구축한 전주시 디지털트윈 모델을 소개하며 디지털트윈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도시관리 필요성을 제기했다. 
김 국장은 “올해부터 디지털트윈을 활용, 전주시의 오랜 난제였던 건축·도로점용 굴착 인허가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해 국민 안전과 편익을 높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디지털트윈을 기반에 둔 메타버스로 나아가려면 공간정보의 상호운용성 확보가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구름 빅밸류 이사는 “인공지능(AI)·빅데이터 기술이 발달하면서 기업이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필요해졌다”면서 “국가공간정보는 전수조사를 토대로 한 가치 있는 데이터인 만큼 데이터 완성도를 높이거나 시점을 맞춰서 제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토연구원 김대종 디지털트윈연구센터장도 “각 지자체별로 디지털트윈을 구축하고 있지만 관련 데이터가 활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면서 “데이터가 중복 생산되지 않고 상호 운용성을 높이려면 데이터 생산체계를 상향식으로 바꾸고 개인이 각자 갖고 있는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보상해주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밖에 산업구조가 영세하고 측량 데이터베이스(DB) 구축에 치중된 공간정보산업 한계점을 극복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국토부 강주엽 국토정보정책관은 “공간정보산업 매출액이 급증하고 있지만 성장률은 둔화되고 공간정보업체들은 여전히 영세하다는 점이 위기요인”이라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공간정보를 취득하는 혁신기술의 개발, 공간정보 구매자의 다각화, 다른 산업과의 융·복합 등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