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박채원 기자] 중소기업의 95.7%가 탄소중립에 대한 비용부담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달 9일에서 19일까지 제조 중소기업 352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2050 탄소중립 관련 중소기업 실태조사’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응답대상 기업 중 46.8%가 탄소중립을 인지하고 있었으나 대응계획이 있는 기업은 13.9%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온실가스의무감축제도 해당기업은 42.2%가 대응계획을 수립한 것에 반해 비해당기업은 7.7%만 대응계획을 수립하고 있었다.

 

탄소중립에 대한 대응계획을 수립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새로운 환경변화에 대응할 자금·인력 부족(58.7%)’이 가장 높았다.

이어 △탄소중립에 대해 이해하고 검토할 시간적 여유 부족(18.5%) △저탄소 제품생산·공정전환에 대한 인센티브 부족(14.9%) 등의 순이었다.

 

또 탄소중립 동참 필요성을 느끼는 기업은 64.2%에 달했으나 정부의 2030 온실가스 40% 감축목표에 대해서는 88.4%가 부정적이어서 중소기업의 탄소중립 이행의지와 정책목표간 괴리를 축소시킬 수 있는 지원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탄소중립에 대한 비용이 부담된다고 응답한 기업은 매출액의 1~5% 내외 45.5%, 매출액의 5~10% 내외 28.9% 순으로 조사됐다.

가장 높은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은 △시설교체·설치비용(63.1%)이 가장 높았고 △원자재 가격인상(18.5%) △전기요금(12.5%)이 그 뒤를 이었다. 

 

가장 필요한 정부의 지원 정책으로는 중소기업 차등(전용) 전기요금제 마련(59.1%)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긴급운영자금 등 노후시설 교체비용 지원(28.1%) △비용상승분 반영 위한 납품단가연동제 등 도입(26.7%) 등의 순이었다.
 

특히 광업·시멘트와 철강·금속 업종은 노후시설교체비용(각 61.5%, 45.8%)을, 기계·조선과 화학·플라스틱·섬유 업종은 차등요금제 마련(각 68.8%, 59.6%)을 가장 필요한 지원책으로 응답했다.

 

중기중앙회 양찬회 혁신성장본부장은 “기업간 탄소중립 대응수준이 상이한 만큼 성공적인 탄소중립 완성을 위해 중소기업 전용 전기요금제와 납품단가연동제 등을 도입해 중소기업의 전반의 그린격차를 축소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