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장신애 기자] 국토교통부가 오는 2042년까지 항공교통 비행시간을 10% 줄이고, 정시성을 20%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국가항행계획을 확정했다.


국토부는 국방부, 기상청 등 관계부처와 함께 미래 항공교통과 코로나19 이후를 대비하기 위해 마련한 ‘국가항행계획’이 5일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확정됐다고 밝혔다.


국가항행계획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도심항공교통(UAM) 등 신기술과 새로운 항공교통 수단 등장으로 변화하는 항공환경에 대응하고, 과학적인 교통관리를 통해 최적의 비행경로를 보장하기 위한 맞춤형 항공교통종합계획이다.


이번에 확정된 국가항행계획에서는 ‘데이터 시스템 지원을 통한 끊김없고 안전한 최적의 비행 보장’이라는 비전을 세웠다.


이를 바탕으로 △수요자(항공사) 중심의 예측 가능한 공항·공역 운영 △데이터 기반의 첨단 항공교통관리 체계 구축 △최적의 항행환경 구축을 통한 수용성 확대 △신기술·신비행체를 적용한 신항공교통관리 체계 구축 △포스트 코로나 대비 항공교통관리 강화 등 5대 추진 전략과 14개 주요과제, 43개 세부과제를 제시했다.


우선 수요자 중심의 예측가능한 공항·공역 운영을 위해 기존 ‘관리·통제 중심의 공역운영’에서 ‘항공사 등 수요자 중심의 공역·공항운영’ 체계를 구축한다.
이를 위해 민과 군, 인접 국가 간 협력을 강화해 탄력적 활용이 가능한 공역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데이터 기반의 첨단 항공교통관리 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항공정보와 비행정보 및 실시간 교통 데이터에 대한 네트워크화를 추진한다.
현재 각 기관이나 공항별로 따로 분석하면 데이터를 국가 주관 센터에서 종합해 실시간 수용량 예측에 활용하는 등 항공교통의 정시성을 향상해 나갈 예정이다.


또 최적의 항행환경 구축을 통한 수용성 확대를 위해 기존 항공교통관제사의 경험과 능력에 의해 판단되던 항공기의 출·도착 순서를 보다 과학적으로 정밀하게 관리하기 위해 관제장비와 항행시설을 디지털·첨단화하고, 4D개념(위도,경도,고도,시간)의 궤적기반운영으로 전환해 효율성을 개선해나간다.


신기술·신비행체를 적용한 신항공교통관리 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UAM에 대비해 첨단·무인기반 교통관리체계를 마련하고, 가상·증강현실을 접목시켜 관제업무를 수행하는 등 항공교통관리의 패러다임을 전환할 계획이다.


포스트 코로나에 대비한 항공교통관리 강화를 위한 방안도 마련한다.
항공산업 위기 극복을 위해 직선비행로 확대를 통한 항공사 유류비 절감을 지원하고 관제사 훈련 고도화 등을 통해 관제서비스 품질도 향상시킬 계획이다.


국토부는 해당 계획의 차질 없는 이행을 위해 관련부처와 업계, 학계, 공공기관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하고 법적 추진기반 확보 및 재정투자 등을 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국토부는 오는 2042년까지 항공교통 안전성은 50%, 운영효율성은 10%, 항공편 정시성은 20% 증진하고 이산화탄소 배출로 인한 환경영향과 유류비는 11% 줄여 우리나라 전체 항공교통 수용량을 2배 이상 증대시킬 계획이다.


국토부 김용석 항공정책실장은 “국가항행계획을 통해 향후 급증할 항공교통량과 새롭게 등장하는 항공교통 신기술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것”이라며 “국민에게 안전하면서 지연이 없는 항공교통을 제공하고 신산업의 성장토대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