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최지희 기자] 건설자재난 장기화에 대비해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21일 ‘포스트 코로나 시대, 건설 자재 가격 상승 현황 및 대응 방안’ 보고서를 통해 “건설자재난 장기화에 대비해 철강생산을 확대하고 건설생산체계를 점검하는 가운데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등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국내 철근 생산은 건설경기 부진으로 2017년 이후 3년 연속 감소했다. 
중국 수입량 감소와 향후 회복되는 건설투자를 감안하면 최소 전년 대비 10% 이상의 생산 확대가 필요하다는 게 건산연의 설명이다. 


또 △1단계 유통사의 철강 건설 자재 매점매석 단속 및 행정조치 강화 △2단계 시멘트·레미콘 등 비금속 광물제품 원자재 재고 확보 △3단계 지역 중소 건설사 협의체 구성 및 소통 창구 마련 등 정부가 단계적 대응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건산연 박철한 연구위원은 “최근 철근 등 건설자재난 상황 심각하다”며 “이번 사태는 2008년 철근 대란 때와는 달리 좀 더 장기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철근 가격은 6월 현재 전년 동기보다 2배 가까이 상승한 130만 원 선에서 유통되고 있다. 
다수의 중소건설사가 급격히 상승한 철근가격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전 세계 경제 회복에 따른 원자재 비용 상승과 국내 건설경기 개선에 따른 철강 수요 등으로 철근 가격은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건산연은 건설생산에 투입되는 주요 금속 자재의 가격이 전년 대비 20% 이상 상승할 경우 건설사의 부분 손실은 불가피하다고 내다봤다. 
40% 이상 상승하면 건설사의 실질적 손실이 불가피하고 피해는 중소건설사에 집중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박 연구위원은 “최소 전년보다 10% 이상의 철강 생산 확대가 이뤄져야 한다”면서 “현실 단가 반영 및 공사용 자재 불공정 행위 대응 강화, 매점매석 단속 강화, 추가 자재난 대응 및 협의체 구성도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