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임진택 기자] 서울 지역에서 최근 10년간 재개발·재건축 지정이 해제된 사업구역의 면적이 3기 신도시인 하남교산·인천계양·부천대장지구 개발면적과 맞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개발·재건축이 미뤄지면서 공동주택이 노후화되고 신규 주택 공급 부족이 발생, 집값 폭등을 가속화시킨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5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민의힘 송언석 의원(경북 김천시)이 서울시와 통계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지정 해제된 서울 지역 재개발·재건축 사업은 390곳이었다. 
이 중 재개발은 179곳, 재건축 211곳이다. 


이들 사업구역의 면적은 총 1373만㎡로 3기 신도시인 하남교산·인천계양·부천대장지구 개발면적 1327㎡보다 넓었다. 


또 사업구역 가운데 174곳은 정비예정구역 단계에서, 70곳은 정비구역지정 단계에서, 131곳은 추진위원회 승인 단계에서, 15곳은 조합설립인가 단계에서 지정이 해제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는 사이 서울 지역의 30년 이상 노후 주택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5년 37만3416가구였던 서울 지역의 30년 이상 노후 주택은 2019년 55만1001가구로 5년 동안 47.6%나 증가했다. 

 
같은 기간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74만7256가구에서 110만1682가구로 47.4%, 비수도권이 192만1970가구에서 218만9477가구로 13.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수도권보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의 공동주택 노후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게 송 의원의 설명이다. 


송 의원은 “서울의 경우, 다수의 재개발·재건축 사업이 좌초되면서 공급부족이 발생해 집값 폭등을 가속화시킨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와 서울시는 합리적인 재개발·재건축 활성화 방안을 마련, 주택공급 확대를 통한 부동산시장 안정화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