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임진택 기자] 건설시장 회복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자재, 인건비 등이 크게 올라 공사원가 상승 압박이 상당한 만큼 인력·자재 수급 차질에 대비한 선제 대응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은 지난달 31일 발간한 ‘지표로 보는 건설시장 이슈’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건정연 박선구 경제금융실장은 “올 1분기 건설시장은 건설수주의 증가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건설기성은 감소하고 있다”면서 “정부가 역대 최고 수준의 조기집행을 계획하고 있고 건축허가 등 선행지표가 개선되고 있어 2분기 이후 건설시장 회복세가 전망된다”고 강조했다. 


다만 중앙에 비해 지방재정 금액은 줄어든 만큼 중소·지역 건설업체 수주 활성화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고 조기집행에 따른 하반기 재정절벽 우려가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하게 물량을 배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경제금융실장은 “직접시공의 주체인 전문건설업의 경우 자재, 인건비 등 생산요소 가격이 크게 올라 공사원가 상승 압박이 상당한 수준”이라며 “인력과 자재의 수급 상황 점검과 대책 마련을 위해 민관 협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건정연 권주안 연구위원은 올 1·2월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상승세가 지속되고 매매가격 상승폭도 확대되는 등 주택시장 불안정성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최근 시장금리 소폭 상승, 주택시장 심리지수 하락, 주간 주택가격 상승폭 둔화 등의 시장 안정 징후도 감지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2분기는 금리, 심리 등의 지표가 보다 안정화되고 주택공급이 확대되면서 시장 안정화가 가시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권 연구위원은 “2·4대책 등 210만 가구에 달하는 주택공급 확대는 200만 가구 공급을 추진했던 1989년 상황과 비슷하다”며 “1989년 경험을 적용하면 올해부터 2023년 시장 안정화 가능성은 높아진다”고 주장했다. 


건정연 유병권 원장은 “최근 건설시장 회복 기대감은 있으나 원자재가격 상승 등 건설원가 불안요인이 잠재돼 있다”면서 “건자재를 중심으로 물가 상황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수급 차질에 대비한 선제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