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장신애 기자] 국토교통부는 국민 실생활과 밀접한 중앙행정기관 중 한 곳이다. 특히 국민 안전과 직결된 업무가 많다. 국토부 노동조합이 공공성 강화를 외치는 이유다. 본지는 국토부 노동조합의 최병욱 위원장(49)을 만났다. 국토교통산업 현장에서 근무하는 노동자의 위험수당, 항공교통본부의 항공수당 신설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다음은 최병욱 위원장과의 일문일답.

 

- 현재 하고 있는 일은?

“국토부노동조합 위원장으로서 일하고 있다. 8대 위원장으로, 지난 2019년 1월 1일부터 연임하고 있다. 2015년 12월 8일 제7대 위원장을 시작으로 횟수로 6년, 만으로 5년째 근무 중이다. 앞서 7대 위원장을 역임할 때에는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18만 명)에서 수석부위원장도 맡았다. 또 한국철도공사, 한국도로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국토교통부 산하 공공기관 노동조합과 함께 ‘국토교통공공기관노동조합연대회의’를 발족하고 공동의장을 맡고 있다.”


- 국토부 공무원으로서 어떤 역할을 했나? 

“첫 근무지는 부산지방국토관리청 포항국토관리사무소다. 이후 포항, 울진 등에서 근무하고 도로 관련 업무를 맡았었다. 2014년 국토부로 자리를 옮겼다.”


- 노조 위원장되고 나서는 무슨 역할을 했나?

“조합원을 대표하는 만큼 조합원 권익 증진을 위한 업무에 매진했다. 이를 위해 대외활동도 강화했다. 국회, 언론, 정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면서 조합원의 애로사항 등을 해결하기 위해 직접 발로 뛰었다. 노조위원장이 움직이지 않으면 많은 직원의 애로사항인 수당 문제, 불합리한 제도가 개선되지 않기 때문이다. 내부적으로는 도로현장에 투입되는 노동자들의 위험수당과 항공교통본부 항공수당 등을 신설했다. 또한 지방국토관리청의 출장여비를 확보했다. 모든 활동이 조합원 권익 증진뿐 아니라 국민의 안전과 직결됐다. 종합적으로 볼 때 건설, 도로, 항공현장 등에서 조합원들이 열심히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다. ” 

 

- 노조 위원장을 맡아 일하면 어떤 생각이 들까? 

“노동운동은 늘 새로운 길을 개척하는 것과 같다. 불편부당한 일이 사라지지 않기 때문이다. 지금도 조합원들의 권익을 지키고 증진해야 할 일은 존재한다. 그만큼 새로운 길을 개척하는 것과 같기에 모든 일이 어렵고 힘들다. 그럼에도 노조위원장을 격려해주고 응원해주는 조합원들이 있기에 매일 새 힘을 얻어 투쟁 현장에서 힘껏 목소리를 높일 수 있는 것 같다.”


- 공무원 파업은 가능한가? 

“파업은 지금도 안된다. 지난 2006년 공무원노조법이 제정됐다. 출발할 때부터 단결권이나 교섭권은 있었지만, 단체 행동권은 처음부터 없었다. 단체 행동권이 없어 파업할 수는 없기에 국회, 언론, 정부 등을 만나는 대외활동을 통해 우리의 요구가 관철될 수 있도록 힘쓰고 있다.”

 

- 최근 불거진 LH의 땅투기 사건, 어떻게 생각하나? 

“LH 임직원들의 투기 문제와 노조는 별개의 문제다. 언급하는 것이 적절치 않다.”

 

- 장관이 전 LH 사장이었는데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아는가? 

“언급할 사안이 아니다. 다만 노조 차원에서 개인정보활용동의서 제출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조합원들의 권익이 침해당하는 일이 없도록 관심을 갖고 대응할 것이다.”


- 독도에도 관심이 많다고 들었다. 울릉도 공항 건설사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울릉공항 건설사업은 국가정책 차원에서 실시된 것으로 노조 위원장으로서 평가한다는 것 자체가 적절치 않다. 하지만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독도를 매우 중요한 영토로 생각한다. 특히 독도를 3번 방문했는데, 매번 방문길이 멀고 고됐다. 그렇기에 늘 가슴 속으로 독도를 편하게 방문할 수 있는 방법이 생기길 간절히 바랬다. 독도는 대한민국의 고유 영토이기에 울릉공항이 생긴다면 독도를 오가는 길이 한결 편리해질 것으로 생각한다.”


- 노조 위원장으로서 앞으로의 역할은? 

“10년 만에 국토부 단체교섭이 체결됐다. 이제는 성실하게 이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욱이 국민에게 지지를 받을 수 있는 노동운동을 펼칠 수 있도록 공공성 강화에도 초점을 맞추고 활동할 것이다. 실제로 공무원노조는 조합원 뿐 아니라 국민을 위한 노동조합이다. 조합원들의 노동 여건 개선뿐 아니라 실제 일선 현장에서 들려오는 국민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기관에게 전달해 정책이 필요한 곳에 바르게 실행될 수 있도록 하겠다. 시민단체도 존재하지만 국민 실생활과 밀접한 영역에서 정책을 집행하는 공무원 노동자들이기에 국민들의 목소리를 잘 담아서 조합원 고충뿐 아니라 국민들의 고충도 해결하는 노동조합을 만들겠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