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최지희 기자] 정부가 도심항공교통(UAM) 등 미래 항공 신시장 개척을 통해 오는 2030년대 항공 주요 7개국(G7)으로 도약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산업통상자원부는 5일 LIG 넥스원 대전하우스에서 항공제조업계 간담회를 열고 제3차 항공산업발전기본계획(2021~2030)을 발표했다. 


항공산업발전기본계획은 ‘항공우주산업개발 촉진법’에 따라 향후 10년간의 항공산업 발전정책을 효율적·체계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수립하는 법정계획이다. 
이번 제3차 기본계획은 항공산업 고도화, 선진화를 통해 2030년대 항공 G7 진입을 목표로 한다. 


우선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항공업계를 위해 기간산업안정기금, 항공산업 상생협력보증제도 등 금융지원을 강화하고 품질인증 지원 등 항공산업 수출확대를 위한 인프라를 구축한다. 


또 FA-50, 수리온 등 기존 완제기 수출 활성화를 위해 관련 핵심부품 국산화를 추진한다. 
이를 위해 기체구조, 동력장치, 기계시스템, 전기전자시스템, IT·SW, 지상설비시스템 등 6개 분야 25개 부문 100대 핵심기술을 선정했다.   


IT·OLED 등 국내 기술 강점 분야 활용이 가능한 스마트 캐빈, 통합항공전자 모듈, 네트워크 플랫폼 등 항전 분야 기술 개발을 중점 추진한다. 


도심항공교통(UAM) 관련 서비스 시장이 오는 2040년 1조5000만 달러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고출력·고효율 전기동력 부품, 하이브리드 추진 장치, 분산추진·자율비행 부품 등 UAM 관련 친환경·고효율 핵심부품 개발에 조기 착수한다. 


특히 화물용 등 상업용 무인기, 재난·치안 등 공공수요 대응 무인기, 정찰·원거리공격 등 군용 무인기 등 ICT 기술과 융합된 고성능·다기능 무인기를 개발, 미래 먹거리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고효율화·스마트화·친환경화 등 항공산업 미래 기술 수요 선제적 대응을 위한 기체구조, 동력장치, 기계시스템, 전기전자시스템, IT·SW, 지상설비시스템 등 6개 분야 25개 부문 100대 핵심기술 로드맵도 수립키로 했다.  


산업부는 기본계획 추진을 위한 올해 항공산업 관련 예산으로 스마트 캐빈, 수소연료전지기반 카고드론 기술개발 등 총 22개 사업 1153억 원을 편성했다. 


산업부 성윤모 장관은 “국내 항공산업이 우리나라 경제의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서의 역할을 해낼 수 있도록 항공업계의 적극적인 투자와 협조를 당부한다”면서 “산업부도 항공산업의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