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임진택 기자] 정부가 오는 2030년까지 해양수산 신산업 시장을 11조3000억 원 규모로 육성하고 어가 평균 소득을 7000만 원까지 올리겠다는 청사진을 발표했다. 


해수부는 12일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2회 국무회의에서 ‘제3차 해양수산발전기본계획(2021~2030)’이 심의·의결됐다고 밝혔다. 


해수부와 문화체육관광부, 환경부 등 15개 관계부처가 함께 수립한 제3차 해양수산발전기본계획은 ‘전환의 시대, 생명의 바다 풍요로운 미래’라는 비전 아래 △안전하고 행복한 포용의 바다 △디지털과 혁신이 이끄는 성장의 바다 △세대와 세계를 아우르는 상생의 바다 등 3대 목표와 이를 실현하기 위한 6대 추진전략, 146개 세부과제 등으로 구성됐다.  


우선 해양수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오는 2030년까지 무인 자율운항선박을 개발하고 세계 자율운항선박시장 점유율을 50%까지 끌어올린다. 
또 부산항 제2신항을 2030년부터 본격적인 한국형 스마트 항만으로 운영하고 2.5%에 불과한 스마트 양식장 비율을 50%까지 확대한다. 
완전무인 자율운항선박, 한국형 스마트 항만, 스마트 공동물류센터 등 해상운송체계를 지능화하고 컨테이너(2만5000TEU) 처리시간을 40시간에서 24시간으로 단축하는 등 해운항만물류과정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해양수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함께 해양바이오산업, 해양에너지·자원산업 등 신산업을 육성, 해운·항만 중심의 해양수산업 구조를 개선한다.
이와 함께 선박대형화에 대응한 지속적인 항만 확충과 국적선사 경영안정 지원 등 상생협력체제를 구축해 전통 주력 산업의 혁신 성장도 촉진키로 했다.   
이를 통해 3조3000억 원(2018년) 규모인 해양수산 신산업 시장규모를 11조3000억 원까지 확대하고 항만물동량을 16억4000만t(2019년)에서 20억t까지 늘릴 계획이다. 


해양수산 분야 안전을 강화한다. 
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해양수산 근로현장과 장비에 접목, 안전사고를 방지함으로써 2018년 기준 2.55명인 만 명당 항만작업자 사고비율을 오는 2030년까지 0.51명으로 줄인다는 방침이다. 


머물고 싶은 어촌·연안 조성에도 나선다.  
공익형 직불제 등을 통해 어촌 사회안전망을 강화하고 어촌·어항 재생과 종사자의 노동여건 개선 등 사회적 기반을 확충해 소멸 위기가 심화돼 가는 어촌·연안을 함께 잘 사는 어촌으로 탈바꿈시킨다는 것이다. 
오는 2030년까지 도시 대비 어촌 소득 비율을 90%까지 올려 어가 평균 소득 7000만 원을 달성할 계획이다. 


이 밖에 친환경선박 보급과 육상전원 공급시설(AMP), 첨단 해양 배출가스 제어시스템(AMECS) 등 탄소저감 친환경 항만기술 개발로 항만·선박의 미세먼지를 저감키로 했다. 


해수부 문성혁 장관은 “제3차 해양수산발전기본계획은 향후 10년간 대한민국 해양수산 정책의 방향키 역할을 해줄 것”이라면서 “차질 없이 실행될 수 있도록 각 부처 및 지자체와 소통하고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