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최지희 기자] 해양수산부가 오는 2030년까지 부산항 제2신항을 한국형 스마트항만으로 조성키로 하고 이에 앞서 광양항에 5940억 원을 투입, 스마트항만 기술 테스트베드를 조성한다. 
또 인천 울산 등 권역별로 특화된 항만을 개발해 안정적인 항만 물류 네트워크를 구축키로 했다. 


해수부는 17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2030 항만정책 방향과 추진전략’을 보고했다.


우선 항만 자동화·디지털화를 위해 오는 2026년까지 광양항에 5940억 원을 투입, 항만 자동화 테스트베드를 구축한다.
이후 테스트베드 검증을 거쳐 부산항 제2신항에 국산 자동화 기술을 도입, 2030년부터 본격 한국형 스마트항만 운영에 들어간다. 
선사, 터미널 운영사 등 이용주체 간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이를 자율운항선박, 자율주행트럭 등과 연계해 지능형 항만물류체계를 완성키로 했다. 


또 코로나19로 인한 국제적 공급체계(Global Supply Chain) 변화에 대응하고 안정적인 항만물류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권역별로 특화된 항만을 개발한다. 
부산항 제2신항은 3만TEU급 초대형선이 접안할 수 규모로 건설한다. 
오는 2022년 착공 예정이며 신항 명칭은 지역건의를 수용해 ‘진해신항’으로 결정됐다. 


광양항은 배후산업과 연계해 배후부지 확충부터 산업 활성화, 물동량 창출, 항만개발로 이어지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한다. 
순환형 항로를 만들고 배후부지 조성을 앞당겨 스마트 복합항만으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인천·서해권은 대중국 수출입 화물처리를 위한 물류거점항만으로 육성키로 했다. 
인천항은 컨테이너부두를 3선석 확충하고 인천신항 진입도로를 지하차도(4.3㎞)로 조성, 교통여건 개선과 물류비 절감을 도모한다. 
평택·당진항은 자동차·잡화 등 수도권 산업지원항만, 목포항은 서남권 지역 산업거점항만, 제주는 여객·크루즈 관광 중심항으로 각각 조성한다. 


울산·동해권은 신북방 에너지 및 물류 전진기지로 개발한다. 
울산항에 석유, LNG 등 에너지 부두(18선석), 배후단지를 확충하고 배후도로 5.28㎞를 개설해 울산신항과 본항 간의 물류이동을 개선한다.
동해·묵호항은 재정을 투입, 2선석을 우선 개발함으로써 만성적인 체선·체화 문제를 해소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항만과 지역 간 상생을 위해 LNG 벙커링 터미널, 수리조선소, 전자상거래 특화구역 등을 추진해 항만 서비스를 다양화하고 지역 일자리도 창출키로 했다.
유휴화된 노후 항만공간은 지역 경제·산업·문화 거점으로 전환한다. 
부산항 북항(2단계), 인천내항 1·8부두 항만재개발 사업 등 14개 항만, 2153만㎡ 부지를 대상으로 항만 재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해수부 문성혁 장관은 “이번 2030 항만정책 방향과 추진전략에 따라 향후 10년간 항만 개발을 차질 없이 추진해 우리나라가 항만물류 선진국으로서 발돋움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디지털 항만을 실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