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최지희 기자] LNG라 불리는 도시가스는 ‘도시가스사업법’에 따라 허가를 받은 사업자가 배관을 통해 가정이나 공장에 공급하는 연료용 가스다. 
한국가스공사는 액화상태의 LNG를 수입해 인천 평택 통영 삼척 제주 등 국내 5곳의 LNG 저장 탱크에 보관한다.
LNG 저장소를 ‘LNG 생산기지’라 부른다.
이 생산기지 저장돼 있는 액화가스를 기체로 변환해 일반 가정에 공급해야 되는데, 변환 과정을 생산 개념으로 보기 때문에 통상 생산기지라 부르는 것이다. 


액화가스를 기체로 변환에 가정에 공급하려면 가스를 수송할 배관망 설치가 필수적이다.
배관망 설치 역시 가스공사의 몫이다.
배관망 설치까지 가스공사가 관여하고 나머지 과정, 즉 기체가스를 공급받아 가정에 판매하는 역할은 해당 지역 도시가스업체가 담당한다.


따라서 배관망 구축이 도시가스 공급의 전제조건이다.
아직도 LPG 가스통을 배달하는 지역은 배관망이 구축되지 않은 곳이다.
배관망 구축에 소요되는 비용 대비 판매량이 많아야 되는데, 가구수가 적은 곳은 손익분기점이 맞지 않아 배관망이 구축되지 못하고 있다.


9월 말 현재 도시가스는 전국의 지자체 229곳 가운데 211곳(92%)만이 보급되고 있다. 
아직도 8%에 해당하는 지역은 도시가스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가스공사는 우선 내년까지 군 단위 LPG 배관망 사업이 추진되는 강원도 화천군 등 13곳을 제외한 216곳(94%)에 공급체계를 구축키로 했다. 


도시가스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지역이 농촌을 중심으로 여전히 많다는 반증이다.
도시가스가 도입된 지자체일지라도 사용 인구 부족 등으로 배관망이 모든 지역에 다 갖춰진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 같은 도시가스 미공급지역 거주민의 에너지 편익 향상을 위해 가스공사는 정부의 ‘13차 장기천연가스 수급계획’에 발맞춰 도시가스 공급설비 구축에 적극 나서고 있다. 
13차 장기천연가스 수급계획은 오는 2023년까지 주배관망의 총연장을 5376㎞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가스공사는 내년까지 충청남도 청양군과 경상남도 합천군, 산청군 등 도시가스 미공급 지역 3곳에 관리소 8개소와 주배관 65㎞를 건설한다. 
법원~광탄 등 기존 배관망의 안정성 강화 작업도 추진한다. 
이미 배관망이 설치된 지역이라도 지진 등으로 배관이 파손될 경우 우회배관이 없어 도시가스 공급이 불가능하거나 공급압력 보강을 위해 추가로 배관 건설공사를 실시하는 것이다.  


법원~광탄 주배관 공사는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양주시 광적면~파주시 광탄면 8.76㎞에 30인치 주배관을 설치하고 공급관리소를 신설하는 사업이다.  
시공은 SM경남기업, KR산업의 컨소시엄이 맡았다. 
공사비는 약 216억 원이며, 내년 11월 완공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 중이다.


가스관 매설공사는 환경파괴 최소화와 향후 굴착공사로 인한 파손사고 방지등 안전성을 확보해야 하는 두마리 토끼를 잡아야 한다.
이 때문에 주로 간선도로를 따라 가야 하며, 인터넷 망이나 수도관 등 가능한 한 다른 매설물과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매설하는 게 중요하다. 


법원~광탄 주배관 완공되면 교하~금촌 구간 주배관에 비상상황이 발생해도 경기 북부지역 발전소에 대규모 공급 중단사태를 방지하고 각 수요처에 천연가스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SM경남기업 관계자는 “2차선 도로에서 한 개 차선을 점용하며 공사를 진행해야 하기에 교통소통에 당분간 불편이 발생할 것”이라며 “교통소통은 물론 소음, 분진 등 주민불편을 최소화하고 안전하게 공사가 이루어 질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으니 주민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 드린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