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화재 참사가 또 일어났다. 잊을 만하면 터진다. 사고가 터질때마다 사후약방문 격으로 근본적인 재발방지책을 내놨지만 마련이니 공염불에 그친 꼴이 됐다. 이번 화재 참사는 이처럼 우리 안전관리 시스템의 현주소와 허술함을 다시금 되새기게 만든다.


가장 우선돼야 할 건 명확한 화재원인 규명이다. 건물 내 곳곳의 우레탄 작업에서 생긴 유증기가 용접·용단 등의 불꽃과 만나 폭발한 걸로 추정되고 있다. 단열·시공성 등이 뛰어난 우레탄은 냉동창고를 비롯한 각종 건축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주입과정에서 유증기가 발생한다. 공사장에 과연 소방장치가 제대로 설치되고 안전수칙과 관리감독이 철저히 이행됐는지를 철저히 따져야 한다.


이번 참사는 2008년 40명의 목숨을 앗아간 이천 냉동창고 화재와 비슷하다. 가연성 소재가 가득한 지하에서 작업하다가 벌어진 참사라는 점이다. 당시 샌드위치 패널로 지어진 냉동창고 내부에 차 있던 유증기에 작업 도중 발생한 불티가 옮겨 붙어 연쇄 폭발과 함께 순식간에 불길과 유독가스가 번져 근로자들이 속수무책으로 변을 당했다.


스티로폼이나 우레탄폼으로 된 샌드위치 패널 단열재는 유리섬유 단열재보다 가격이 싸지만 한번 불이 붙으면 유독가스가 다량 발생한다. 샌드위치 패널로 지어진 물류창고는 ‘화약고’와 같다.


공사 현장에서 같은 원인으로 대형 화재가 되풀이 되는 것은 우리사회에 여전히 안전불감증이 사라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화재 발생 경위부터 안전기준과 수칙 준수여부를 철저히 조사해 명확한 원인 규명을 바탕으로 근본적인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대형 화재가 날 때마다 재발 방지를 약속하지만 비슷한 참사는 끊이지 않고 있다.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서는 공사현장 근로자들의 안전의식 강화가 가장 중요하다. 정부도 사고가 터진 후 대책을 마련한다고 호들갑을 떨게 아니라 미리미리 근본적인 안전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