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조후현 기자] ‘우한 폐렴’으로 불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공포가 건설현장을 덮치고 있다.
여러 사람이 함께 일하는 데다, 단기 일용직이 많고 비교적 취업이 쉬운 건설현장 특성상 불법 취업 외국인 근로자의 비율도 높아 방역에 구멍이 생길 우려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2018년 한국이민학회는 건설업 외국인력 실태조사 연구에서 건설현장 종사 외국인 근로자 22만6000명 가운데 70%인 15만9000명이 불법 취업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당시 불법체류 외국인 31만2000명의 51%에 달하는 수치로, 불법체류 외국인의 과반수가 건설현장에 집중돼 있다는 의미다.


특히 H-2, F-4 등 비자를 받고 합법적으로 일하는 인력 6만5000명 가운데서도 조선족 동포가 52.5%, 중국 한족이 26.4%를 차지하는 등 중국인 비율도 높았다.


그러나 인력난에 시달리는 건설현장에서 외국인력이 차지하는 비중은 20%가량으로, 중국인을 무조건 업무에서 배제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대형 건설사들은 이미 현장관리에 비상을 걸고 대응하고 있다.
GS건설은 지난 28일부터 현장에 출근하는 전체 근로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화장실과 식당 등에 손 소독제 비치, 공용시설 방역소독 등 대응 방안을 실시하고 있다.
중국 후베이성 방문자의 경우 출역 대기 조치하고 2주간 추적 관리한다.


삼성물산과 현대건설, 대림산업, HDC현대산업개발 등 다른 대형 건설사들도 체온 측정과 마스크 지급, 위생관리 강화 등 대응 방안을 마련해 시행 중이다.


고용노동부에서도 29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예방을 위한 사업장 대응지침’을 마련, 지방노동관서와 안전보건공단 등을 통해 각 사업장에 전파하도록 지시했다고 밝혔다.
지침에는 개인위생 및 사업장 청결 관리, 감염유입·확산 방지, 의심 환자 및 격리대상 발생 시 조치 사항 등 기본적인 내용이 담겼다.


다만 자체적으로도 대응 방안을 마련해 시행하는 대형 건설사보다는 소규모 현장들에 대한 관리도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안전이나 사고에 예민해 관리가 비교적 잘 되는 대형 건설사의 현장보다는 불법 취업자가 많고 현장관리가 취약한 소규모 현장들에 대한 집중적 관리방안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