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최지희 기자] 2025년 하늘을 나는 자동차와 2027년 완전자율주행차가 현실이 될 전망이다. 
정부는 이와 같은 미래차 시대에서 우리 자동차 업계가 앞서나갈 수 있도록 관련 제도·인프라 구축에 나선다. 


정부는 15일 경기도 화성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에서 ‘미래자동차 국가비전 선포식’을 열고 관계부처 합동으로 ‘미래차 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세계 자동차 시장이 당분간 1% 내외의 저성장이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자동차 업계가 발빠르게 미래차로 전환해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정부는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2030년 미래차 경쟁력 1등 국가로의 도약’을 비전으로 삼고 향후 10년간 우리 미래차 산업이 나아갈 ‘3대 추진전략’을 제시했다. 
3대 추진전략은 △친환경차 기술력과 국내보급 가속화를 통한 세계시장 공략 △2024년까지 완전자율주행 제도·인프라(주요 도로) 완비 △민간투자(60조 원) 기반 개방형 미래차 생태계 신속 전환 등이다.


정부는 현재 2.6% 수준인 전기·수소차의 국내 신차 판매비중을 오는 2030년까지 33%로, 세계시장 점유율을 10%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2027년까지는 전국 주요 도로에서 운전자 개입 없이 운행이 가능한 완전자율주행(레벨4)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2030년까지 모든 차종의 친환경차 라인업을 구축하고 주행거리, 전비 등 성능 중심으로 보조금을 개편해 고효율화, 성능 향상을 유도한다.    


충전인프라의 경우 전기충전기는 2025년까지 1만5000기, 수소충전소는 2030년까지 660기를 구축한다. 
특히 수소충전소는 2030년 주요 도시에서 20분 이내, 고속도로에서 75㎞ 이내에 도달하도록 설치한다. 


자율주행차 미래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완전자율주행 상용화 시점을 기존 2030년에서 2027년으로 3년 앞당긴다. 
이를 위해 2024년까지 성능 검증, 보험, 운전자 의무 등 완전자율주행을 위한 제도를 도입하고 통신시설 인프라, 정밀지도, 교통관제, 도로 등 인프라를 완비한다. 


자율주행 서비스 확산을 위해 자율셔틀, 자율택시, 화물차 군집주행 상용화 등 민간 주도 3대 서비스와  교통약자 이동지원, 차량 고장 긴급대응, 자율주행 순찰 등 공공 주도 9대 서비스를 추진한다.  


또 2025년 이동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새로운 이동수단인 ‘플라잉카(Flying Car)’ 서비스 실용화에 나선다.   
고출력 모터 등 핵심기술을 우선 확보하고 전용도로 확보·자동경로 설정 등 교통체계 기반기술을 개발한다. 
항공기 수준의 안전기준을 마련하고 시범운행 등을 거쳐 2025년부터 여객서비스를 활성화하기로 했다. 


미래차 생태계로 조기에 전환할 수 있도록 전체 부품기업 중 전장부품 기업비중을 현재 4%에서 2030년 20% 이상으로 확대한다.  
이를 위해 2조 원 이상의 자금을 공급하고 연구·현장인력 2000명을 양성한다. 
해외 완성차 업체와의 공동 기술개발에도 나선다. 


국토교통부 김경욱 2차관은 “2030년 미래자동차 경쟁력 1등 국가 도약과 국민 모두에게 안전하고 편리한 미래교통서비스 제공을 위해 제도, 인프라 등을 선제적으로 준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