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조관규 기자] “세월호 참사를 목격하면서, 재난 사고에 대한 매뉴얼을 마련해보고 싶었습니다.”
‘언론에 비친 재난·안전 사고현장과 안전수칙’의 저자 김종욱 씨(50)의 일성이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이완영 의원실 보좌관으로 근무하는 김 씨는 당시를 회상하면 “대형 사고를 정치적 사건으로 악용하려던 권모술수와, 재난 대응을 위한 컨트롤 타워 없이 우왕좌왕하던 모습만 잔영으로 남아 있다”고 말했다.
김 보좌관은 당시 국회의원을 보좌하는 보좌관에 불과하지만, 사고에 대응하는 매뉴얼을 만들어 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는 것이다.


지금은 야당이지만 그때는 집권당 보좌관이었는데, 집권당은 당시 깔끔하게 사고를 수습하는 모습이 아니라 허둥지둥 우왕좌왕하고 있었다.
여기에다 당시 야당 세력은 ‘선수습 후비난’의 정치도의를 저버리고, 정치적 사건으로 몰아가면서 괴담 퍼뜨리기에 총력을 기울였다고 회상했다.


당시 반여 정치세력들은 실제로 SNS나 취중객담을 통해 “박근혜정부가 앉아 있는 한 이번 세월호 사건은 시작에 불과할 뿐, 이 정권이 유지되는 동안 바다에서 땅에서 하늘에서 더 많은 재수 없는 사건들이 발생할 것”이라고 떠벌이고 다녔다.
신속 정확한 사고수습과 재발방지 대책은 안중에도 없었다는 것이다.
김 보좌관은 이런 현실을 바라보면서 “일반 국민들의 눈에 지금의 모습이 어떻게 보일까라는 생각에 아찔했다”고 고백했다.
“내 비록 의원을 보필하는 보좌관에 불과하지만, 국가의 4급 서기관급 공무원으로 정책일선에 앉아 있는 이상, 선량한 국민들의 비난을 피해가기 어렵다”는 생각에 재난 대응 매뉴얼을 만들자는 각오가 섰다고 김 보좌관은 말했다.


사고 대응 매뉴얼을 만들기 위해 우선 각종 사고를 시대별 유형별로 분류하기로 했다.
그런데 이게 쉬운 작업이 아니었다.
70년 동안의 각종 사고를 유형별로 분류하는 것도 어려운 작업이었지만, 신문 스크랩과 사진 자료에는 저작권이 걸려 있어 함부로 써서는 안 되는 기록물과 사진물도 많았다.
이에 따라 책 제목에 ‘언론에 비친’이란 단어를 굳이 넣어야 했다.
또 집필을 위해 일일이 찾아다니며 취지를 설명하고, 저작권에 대한 양해를 구해 때로는 공짜로, 때론 저렴한 저작권 보상으로 게재승낙을 받아내는 작업을 진행했다.


김 보좌관은 우선 연대별로 △사회재난 사고에 대한 기록물을 제시했고 이어 △화재 참사 현장 △태풍과 지진 재해 △산업재해를 묶어 1편에 수록했다.
이어 △교통사고 건축물 붕괴사고 등 사회재난 사고와 △가스 물놀이 사고 등 생활안전 사고 △강풍 대설 등 자연재난 사고를 기록으로 묶어 2편에 수록했다.
사고 기록을 수집하고 분류하는데 5년 걸렸다. 지난 2014년 세월호 참사 이후 시작된 출판 작업이 올 들어 지난 1월 10일에야 초판 인쇄에 들어간 것이다. 


저자는 이 같은 작업을 통해 학문적인 이론보다는 기록물을 제시함으로써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안전 예방도서가 되기를 바랐다.
저자는 특히 매번 되풀이 되고 있는 사고에, 매번 허둥지둥 우왕좌왕하는 모습이 답습되고 있다며 이 책이 ‘안전행동을 위한 하나의 매뉴얼’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기대했다.
그는 나아가 “지나친 욕심이겠지만 이 보잘 것 없는 책이 초등학교 교실에 비치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어린 학생들이 기록물을 본 뒤, 부록에 실린 안전행동 매뉴얼을 보면서 안전사고에 차분히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습득하는 게 개인적인 바람이라고 말했다.
저자는 “기록물을 살펴보면 ‘사고의 패턴은 언제나 똑같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며 “대형 화재사고 역시 스프링클러 미작동, 비상대피 통로 미확보, 불법주차로 인한 소방차 진입 골든타임 상실 등 매번 동일 패턴의 사고가 되풀이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저자 김종욱 보좌관은 “단 한 건의 안전사고라도 줄어들기를 바라는 심정에서 이 책을 만들게 됐다”며 “지난 실패를 거울삼아 더 안전한 대한민국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