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박태선 기자] 서울시가 정비사업 사전 단계부터 전 과정까지 개입을 늘린다.
최종 심의만 하는 것에서 벗어나 기획 단계에서부터 가이드라인을 제시, 사업 지연을 방지하고 획일적인 디자인에서도 탈피한다는 것이다.
폐쇄적인 아파트가 주변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조성기준도 마련해 제시한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도시·건축혁신안을 12일 발표했다.


먼저 사전 공공기획 단계를 도입해 건축계획, 지역특성, 사회변화 등을 고려한 정비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구릉지 일대 아파트 단지는 경관을 고려해 높이에 차이를 두고 역세권 아파트는 상업·업무·주거가 결합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도시계획위원회 심의에서 수차례 보류되는 일을 방지, 정비계획 결정까지의 시간도 20개월에서 10개월로 대폭 단축한다는 목표다.


서울시 아파트 조성기준도 마련, 섬처럼 단절되고 폐쇄적이던 아파트가 주변과 연결되는 열린 공간이 되도록 한다.
슈퍼블록은 쪼개고, 대단위 아파트 밀집지역은 지역을 아우르는 입체적 계획으로 확대 수립하는 방식이다.


획일적인 디자인에서 벗어나기 위해 현상설계를 적용하고 특별건축구역도 지정한다.
특별건축구역은 연면적 20% 이상 특화디자인 설계를 통해 창의적 디자인을 유도한다.
현상설계 공모비용도 서울시가 1억 원까지 지원한다.


서울시는 하반기까지 도시건축혁신단을 신설, 관련업무를 지원키로 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번 방안으로 사업비 절감, 도시계획 일관성 확보, 경관 개선이라는 1석 3조의 효과를 실현할 것”이라며 “2030년까지 56% 아파트가 정비시기가 도래하는 지금이 마지막 골든타임”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