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배동호 기자] 정부가 앞으로 2030년까지 스마트 해상물류를 이룬다는 목표로 세 가지 전략을 수립했다.
 

해양수산부는 8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관세청 등과 과학기술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목표를 설정했다.
 

해수부는 국가 핵심운송 체계의 핵심인 해상물류에서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 경쟁력을 높이고 신성장 동력을 창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스마트 해상물류 인프라 구축 △연관 업계 지원 및 일자리 창출 △시범사업 및 현장실증 등 세 방향의 전략을 세웠다.
 

우선 2025년까지 스마트 해상물류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2만4000TEU급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하역작업을 24시간 수준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현재는 같은 규모의 하역작업에는 40시간 가량 소요된다.

정부는 이를 통해 1200억원 이상의 편익을 창출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함께 대형 해양사고 제로화, 전체 해양사고 50% 감축 목표를 달성하고, 해상물류 정보 생태계 구축을 통해 신규 서비스를 창출한다.

또 창업기업 300개 육성 등 세부 목표를 달성해 경쟁력 강화와 해상물류 선도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세부적으로는 항만과 선박의 스마트화, 물류설비 연계 효율화, 물류주체간 정보 공유 활성화 등을 통해 물류정보 생태계를 구축한다.

동시에 스마트 컨테이너 개발, 수출입 자율주행차량 자동하역 시스템 개발 등 연구개발(R&D)를 추진한다.
 

민관 실무자와 전문가가 참여하는 스마트 해상물류 협의체도 구성해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자동화에 따른 신규 일자리 전환 및 전문인력 양성을 추진한다.

아울러 인재개발부터 창업 육성부터 투자 지원까지 생애주기 전 단계를 지원하는 ‘창업(스타트업) 종합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방안을 지속적으로 현장 점검하는 체계를 구축해 문제점을 보완하고, 상용화를 준비한다는 복안이다.
 

한편 해상물류는 우리나라 교역량의 99.7%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미 유럽 선진국은 물론 동아시아 주변국들도 스마트 해상 물류를 위한 국가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