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조후현 기자] 건설업계가 SOC감소, 잇따른 부동산 규제에 이어 건설원가 공개 추진까지 국내에서 삼중고를 겪고 있다.

여기에다 해외건설 수주 상황도 어려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특단의 자구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업계에서는 북한의 SOC 개발이 가장 효과적인 돌파구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6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국내 건설기업의 해외건설 누적 수주액이 8000억 달러를 돌파했다.
그러나 지난 2015년 6월 7000억 달러를 넘어선지 3년만의 기록으로 매년 600억 달러 규모를 수주하던 2010년대 초반에 비해 상당히 느린 실적이다.
실제로 해외건설 수주는 지난 2010년 700억 달러 규모로 최고점을 기록했지만 지난 2015년 400억 달러 수준으로 감소, 2016년부터는 300억 달러에도 미치지 못하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주력시장인 중동과 플랜트의 발주량이 감소하면서 경쟁이 심화되고 우리 기업의 경험이 부족한 민관협력 투자개발형 사업(Public Private Partnership, PPP)이 확대되는 추세에 따라 이 같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는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를 중심으로 PPP사업 등 해외수주를 지원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또 인력 정보 연구개발 금융 등 기업이 자체적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부분을 적극 지원해 해외진출 역량을 강화해나간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KIND는 지난 6월 설립돼 아직까지 기반을 다지는 단계로 당장 가시적인 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다.
KIND 관계자는 “아직까지는 추진을 준비하는 단계”라며 “올해 1~2건 정도의 성과를 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업계는 최근 남북 관계 개선 기대감에 따라 가장 주목되는 해외시장으로 북한을 꼽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핵화 조치 등 대북제재 조치 해소로 북한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 길이 열리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도 북한의 SOC 인프라 구축과 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하고, 구축과 개선사업에 우리 건설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길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건설업체 한 관계자는 “국내 상황 개선이 절실하고 해외수주 경쟁력도 제고도 필수적이지만 당장 가장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는 해외시장은 북한”이라며 “PPP사업뿐만 아니라 북한과의 관계개선이 더 진척됐을 때를 대비한 지원도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