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강한구 기자] 확보가 시급한 생활밀착형 인프라는 모두 655건에 달하고 총 69조 원의 사업비가 들어갈 것이라는 집계가 나왔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의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5일 밝혔다.


생활밀착형 인프라는 정부가 추진 중인 생활SOC보다 더 넓은 범위의 개념이다.
건산연 이승우 주택도시연구실장은 생활밀착형 인프라에 대해 일상생활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인프라를 종합적으로 포괄하는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생활밀착형 인프라는 국민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생활권도로, 상하수도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라는 것이다.
이 연구실장은 정부가 추진 중인 10대 지역밀착형 생활SOC는 투자 대상 시설이 비교적 좁은 편이라며 시민 생활과 밀접한 연관을 가진 6대 인프라 시설물을 생활밀착형 인프라로 설정했다고 밝혔다.


건산연이 설정한 생활밀착형 인프라는 △교통 △환경 △주거 및 생활 △문화 체육 관광 △교육 및 복지 △안전 등 시민 생활과 밀접한 6개 분야의 시설물이다.
이 같은 생활밀착형 인프라의 전체 사업 건수는 총 655건, 총사업비는 69조 6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신규 사업은 351건, 약 27조 원이고 노후 사업은 304건 약 42조 원으로 노후 인프라의 성능개선이 시급한 과제로 파악됐다.


구축 또는 개선해야 하는 생활밀착형 인프라는 문화 관광 체육 분야가 가장 많았다.
모두 133건으로 전체의 20.3%를 차지했고 안전 19.1% 주거 16% 등이 뒤를 이었다.
사업비는 안전 분야가 가장 많이 필요한 것으로 집계됐다.
안전 분야에만 전체의 25% 가량인 총 17조4594억 원의 사업비가 필요한 것으로 추산됐고 교통 24.6% 환경 18% 등의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전라북도가 86건, 충청북도 84건, 부산 55건 등이었다.


건산연은 이번 연구를 통해 제시된 프로젝트가 생활밀착형 인프라로 지역 주민의 수요가 크다고 설명했다.


건산연 이승우 연구실장은 향후 “생활밀착형 인프라에 대한 체계적인 수요 파악, 투자계획 수립 등 종합적인 정책 로드맵을 수립하고 실천할 필요가 있다”며 “삶의 질 및 안전 제고를 위해서는 노후된 생활밀착형 인프라의 성능개선이 필수”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