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조후현 기자] 친환경차 충전인프라 구축에 주유소를 활용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는 지난 2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미래차 산업 간담회’를 개최했다.
정부는 이날 발표한 미래차 혁신성장 추진전략에서 속도가 2배 이상 빠른 충전기술을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오는 2022년까지 전기차 급속충전기는 1만개를 확충하겠다고 밝혔다.
수소충전소의 경우 12개에서 올해 30개까지 늘리고 설치 보조금 지원대상을 민간으로 확대한다.
그러나 정부가 제시한 전기차 급속충전기 주요거점은 ‘대형마트 고속도로 휴게소 등’으로 명시돼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22일 이 같은 정부안에 대해 접근성 경제성 측면에서 주유소와 연계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들은 우선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문제를 제기했다.
당초 정부안은 급속충전기를 대형마트 고속도로 휴게소 등을 주요 거점으로 2022년까지 1만개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전기차를 충전하려면 전용 어플을 통해 충전소를 찾아가야 하는 불편에 직면한다는 것이다.
주유소와 연계하면 굳이 전기차 충전기를 찾아가는 수고도 덜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와 함께 정부안은 경제성 측면에서도 발목을 잡는다.
정부가 발표한 주요거점이 주유소만큼 전국에 세밀한 구조를 가질 수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대형마트로 메울 수 없는 지역에는 부지를 정해 충전기를 설치해야 하고 부지 비용이 추가로 들어가게 된다.

 

아울러 정부의 친환경차 지원은 강화되는 반면 내연기관차에 대한 규제는 더해질 전망이다.
세계적으로도 탄소규제가 강화되며 노르웨이 네덜란드 등은 2025년부터, 독일은 2030년부터 내연차 판매금지를 예고했다.
이에 따라 친환경차가 내연기관차를 절반만 대체해도 대부분의 주유소는 문을 닫거나 업종을 전환해야 하는 실정이다.
주유소 철거와 충전시설 신설이라는 두 가지 비용을 투입해야 하는 상황이 도래하는 것이다.

 

특히 수소차의 경우에는 충전소 구축에만 20억~30억원이 든다.
주유소 활용을 통해 5억~10억으로 산정되는 부지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필수적인 요소로 평가된다는 주장이다.

 

이에 따라 주유소와 연계하려는 움직임은 도리어 민간에서 먼저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수소산업협회는 지난달 23일 주유소협회와 충전소 구축에 관한 MOU를 체결했다.
이에 대해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MOU 체결 사실은 알고있다”며 “주유소에 구축하는 것도 문제될 것은 없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교통연구분야 한 전문가는 “잘 구축된 주유소 인프라를 활용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친환경차 활성화를 앞당길 수 있는 방법”이라며 “아직 부족한 사업성은 충전시간을 활용할 수 있는 영업공간을 만들어 이윤을 확충하는 방법도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