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신가람 기자] 국토교통부가 부동산 시장에서 거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지난 2016년부터 서울 전역에 ‘부동산 전자계약시스템’을 도입했지만 1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이용률은 1%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같은 사실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윤관석 의원(인천 남동구을)이 한국감정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른 것이다.

 

자료에 따르면 부동산 전자계약 시스템이 실시된 2016년 5월부터 올해 9월까지 서울의 전자계약을 통한 거래 건수는 민간거래 기준 1259건으로, 서울 매매 거래량 13만5713건 중 0.93%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은 지난해부터 전자계약이 가능했지만 1년이 지난 올해도 여전히 매달 이뤄지는 전자계약 건수는 특정 월을 제외하고는 평균 100건을 밑돌고 있다.

올해의 경우 △1월(1건) △2월(3건) △3월(552건) △4월(40건) △5월(10건) △6월(11건) △7월(21건) △8월(475건) 전자계약이 이뤄졌다.

 

국토부는 올해 4월부터 광역시와 경기도·세종시로 전자계약을 확대한데 이어 8월부터는 전국으로 전자계약시스템 사용지역을 확대했다.

그러나 경기도를 제외한 모든 지역이 10건 내외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윤 의원은 16일 열린 감정원 국정감사에서 “부동산 전자계약 시스템은 2014년 도입 결정 이후 총 64억원의 예산이 투입됐고 올해도 운영비로 3억3000만원의 예산이 들어갔음에도 여전히 실적이 부진해 이를 활성화할 추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감정원에서는 아직 시행되지 얼마 되지 않아서 실적이 저조하다고 하지만, 서울 전역에 전자계약 시스템이 도입된 지 1년이 지났다”며 “추가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1년이 지난 뒤에 전국의 전자계약 실적 역시 부진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윤 의원은 “공인중개사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해킹이나 정보 유출, 정보통신망 보안사고에 대한 이용자의 의구심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전자계약 활성화를 위해 중개업자들에 대한 인센티브 도입, 안전성 확보 등 적극적인 홍보와 추가 대책들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