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신가람 기자]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바른정당 하태경 의원(부산 해운대구갑)은 지난해 7월 통일비전연구회가 핵시설 인근 탈북민 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터뷰 조사자료를 원자력의학 전문가 등을 통해 확인한 결과, 탈북민들 중 3명은 본인이 방사능 과다피폭 유사 증세가 있고 나머지 10명은 유사 피폭 증세를 보거나 들었다고 증언했다고 9일 밝혔다.

 

특히 지난 2006년 1차∼2013년 3차 북한 핵실험 이후 약 4∼7년 이상 길주군 핵실험장 인근에 거주한 주민들의 경우 장기간 ‘귀신병’이란 원인모를 증상으로 심한 고통에 시달리고 있다.

 

이를 방사능 피폭에 무게를 두고 원자력의학, 생물학, 환경학 등 관련분야의 전문가를 통해 확인한 결과 체르노빌 및 후쿠시마 원전사고 주민들과 유사한 방사능 피폭 증세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하 의원은 밝혔다.

 

영변 핵시설 인근에 거주하는 주민들도 다른 지역보다 기형아 출산율이 급증하고 있다는 증언을 해, 방사능 피폭 문제가 심각한 상황에 놓여있다고 밝혔다.

 

길주군이나 영변 핵시설 인근지역 방사능 피폭 피해가 확인되고 있어 장기적으로 수만 명에서 수십만 명의 핵시설 인근 주민들이 방사능 피폭으로 건강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관련분야 전문가들도 길주군 핵실험장 인근 탈북민들이 강력한 방사능 피폭 증상이 의심되므로 주기적 염색체 이상 시험 등 건강검진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개진했다.

 

생물학, 환경학 전문가들은 북한 1차 핵실험 이후 11년이 지나가고 있어 핵실험지 주변 30㎞ 내외의 토양과 지하수·지표수의 방사능 오염범위가 확산됐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또 오염된 토양에서 생산된 채소와 식수를 장기간 그대로 복용하면 상당히 높은 수치의 방사능물질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노출되어 피폭 당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 1986년 체르노빌 원전사고, 1979년 미국 TMI 원전사고 등 과거의 역사를 통해서도 알 수 있는 사항이다.

 

방사능 만성피폭, 내부피폭 등의 경우에는 통상 3년 이후부터 수십 년 동안 장기간 건강장애 등 피해를 야기한다.

일본 의료전문가 의견에 따르면 과대 피폭자 95%는 암으로 사망하는 결과를 낳는다.

 

하태경 의원은 “북한 영변이나 길주군 등 핵시설 인근에서 탈북한 주민들에 대해서 국가차원의 건강검진 등 의료지원 프로그램과 환경오염 모니터링 등의 실시가 절실해 보인다”며 “탈북자들에 대해서는 국가가 염색체 이상 검사를 의무화하는 법안을 발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