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이윤희 기자] 에너지 신기술 분야에 올해 1000억원의 실증연구 예산이 투입된다. 
또 실증연구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평가관리지침 제정 등 관련 규정을 정비하고, 실증연구 전담 지원조직도 마련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 산학연 연구개발(R&D) 전문가 간담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에너지기술 실증연구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에너지기술을 사업화하기 위해서는 발전소나 송배전망 등 전력·에너지망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품의 안전성과 성능을 검증하는 실증이 필수다.
하지만 최근 5년간 에너지 분야 실증연구의 투자규모가 감소하는 등 침체기를 겪고 있어 이번에 실증연구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게 됐다.

 

우선 올해 전년 대비 240억원 늘어난 1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스마트그리드, 신재생에너지,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에너지신산업 관련 실증연구에 신규투자를 집중할 계획이다. 
스마트공장 실증 등 산업기술과 에너지기술 간 융·복합형 실증연구에도 투자를 확대한다.

 

또 실증연구의 특성을 반영한 ‘에너지기술 실증연구 평가관리지침’을 제정하는 등 관련 규정도 재정비한다.
실증연구의 개념과 유형을 명확히 하고, 시설·장비비 비중이 높은 실증연구의 특성에 맞춰 인건비 규제를 적용하지 않기로 했다.
부지변경, 지자체 인허가 지연 등에 따른 사업 변동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연구기간 연장도 현행 6개월에서 1년 이상으로 확대하고, 설비이전 등의 절차도 간소화한다.

 

아울러 R&D 전담기관 내 기획부터 지자체 인허가, 지역민원 대응, 사업화까지 사업 전주기를 컨설팅 해주는 실증연구 전담 지원조직도 마련한다.

 

특히 주요 기술 분야별로 실증연구 과거 이력과 현재 기술수준, 미래 투자 방향을 담은 ‘실증연구 전략 로드맵’도 수립한다.
올해 3월까지 전문가 자문그룹 및 온라인 수요조사를 통해 실증과제 수요를 발굴, 전략 로드맵에 반영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국내외 실증자원의 효율적 연계·활용을 통해 실증부지 확보방안도 다변화를 꾀한다.
한전의 고창전력시험센터, 한국남동발전의 영동화력 테스트베드 등 에너지 공기업의 대규모 국내 시험시설을 정부과제의 테스트베드로 활용한다. 

해외기관과 공동으로 실증연구 주제를 발굴하고 사전타당성조사를 수행하는 등 해외실증 기회도 넓혀갈 방침이다.

 

산업부 정만기 차관은 “에너지신산업의 수출 사업화를 위해서는 연구개발과 실증을 통한 실적 확보가 필수적”이라며 “앞으로 테스트베드형 대규모 실증사업을 에너지뿐만 아니라 스마트공장, 자율주행차, 스마트 시티 등 다른 산업분야로도 확대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