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정찬필 기자] 건설업계가 컨소시엄 결성과 민관협업을 앞세워 수주절벽 극복에 나서고 있다.

2007년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한 지난해 해외건설 수주액을 끌어올리기 위해 업계와 정부가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건설사들은 올해 컨소시엄을 결성해 수주전에 나서고 있다.

컨소시엄 구성은 △사업 리스크 분산 △경쟁력 통합 △품질향상 및 발주처 만족 △공사 이윤 확보 등에서 유리하게 작용한다.

게다가 향후 수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같은 방식은 연초부터 대형 프로젝트 수주에 성공하며 바람직한 모델로 인정받았다.

지난 1일 SK건설과 대림산업의 컨소시엄은 총 사업비 3조5000억원 규모의 터키 다르다넬스해협 현수교 프로젝트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이번 수주전에는 한국·중국·일본·유럽 기업이 결성한 4개 컨소시엄이 참여해 SK건설·대림산업 컨소시엄이 해당사업을 수주했다.

각 사의 장점을 살리며 좋은 성과를 거둔 모범 사례다.

 

이 밖에도 컨소시엄을 통한 해외 프로젝트 입찰 사례는 많다.

현대건설과 대우건설은 지난해 연말 바레인 밥코 시트라정유공사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이 공사는 하루 26만7000배럴 규모의 정유처리시설을 36만 배럴 규모로 확대하는 50억 달러 규모의 대형 프로젝트다.

 

현대건설과 현대엔지니어링도 133억 달러 규모 사업인 에콰도르 엘 아로모 정유공장 프로젝트 수주에 참여하고 있다.

 

대우건설과 한화건설은 사우디아라비아 건설사와 공동 시공하는 다흐야 알푸르산 신도시사업의 계약 체결을 기대하고 있다.

약 20조원 규모의 대형 사업이며 현재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와 MOU를 체결한 상태다.

 

정부도 수주 지원을 위해 지원책을 준비하며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앞으로의 해외 건설 수주는 정부 신임도와 민간 투자, 정보 네트워킹 등을 망라한 협업으로 접근해야 성공률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해외 건설시장 트렌드도 단순 도급사업에서 민관협력 투자개발형사업으로 빠르게 변화 중이다.

투자개발형사업 방식은 민간사업자가 기획부터 개발, 건설 등을 거쳐 운영까지 하면서 수익을 회수하는 구조다.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2005년 400억 달러에서 2015년 1200억 달러로 10년 사이 3배가량 증가했다.

 

정부는 올해부터 전담기구를 만들어 본격적인 민관 협력에 나선다.

기구 설립을 위해 법 개정과 방향성, 운영방식에 대한 조율도 마쳤다.

수장에는 글로벌 네트워크를 가진 고위급 출신을 임명해 건설외교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수주절벽 극복을 위해 민관이 협력하고 건설사들이 힘을 모으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라며 “국내 건설기업이 도급형 수주에서 벗어나 투자개발형 사업 방식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