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이윤희 기자] 경기도에 준공 20년이 지난 택지지구가 늘어나면서 재건축 등 체계적 정비·관리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24일 ‘경기도 노후 택지지구의 관리방안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6월 말 기준 경기도 내 준공 택지개발지구는 147곳이며, 이 중 32%인 47곳이 20년이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공동주택 외에 다른 유형의 주택을 공급하겠다는 당초 계획과는 달리 정비사업이 추진되면서 고밀도의 획일화된 공동주택단지만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녹지 등 적정 기반시설이 부족해 혼잡을 가중시키고 주거환경을 악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후 택지지구 중 제반 여건이 가장 양호한 분당, 일산 등 1기 신도시를 중심으로만 정비가 고려되고 있어 더 열악한 환경의 외곽지역 소규모 노후지구는 생활 여건이 갈수록 악화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같이 사업성 여부에 따라 추진이 결정되는 현 정비사업으로는 외곽지역의 노후 택지지구 관리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경기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사업지구의 위치, 규모, 밀도 등 다양한 여건을 고려해 경기도 차원의 실태 파악과 체계적인 관리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재건축, 재개발, 리모델링, 도시재생사업 등 개별법에 의해 정의되는 정비사업을 총괄해 노후 택지지구 관리 특별법을 제정함으로써 행정구역의 체계적인 관리방안을 마련할 것을 제안했다.

 

아울러 지역별 시기별로 주택 입주 물량 등을 고려해 재정비를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기연구원 이성룡 선임연구위원은 “새로운 관리제도는 인구 고령화, 1인 가구 증가 등 사회 변화를 고려하고, 신개발보다 기존 도심의 재생에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