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정찬필 기자] 지난해 건설현장에서 일한 외국인 근로자 수가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30대 이하 외국인 근로자도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내 근로자 2명 중 1명은 50대 이상이었고, 젊은층의 유입도 정체됐다.

 

건설근로자공제회(이사장 권영순)는 퇴직공제사업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2015 퇴직공제 통계연보’를 발간했다.

 

건설근로자 퇴직공제는 건설 사업주가 고용한 일용직 근로자의 근로일수에 따라 퇴직공제금을 납부하면, 건설근로자공제회가 이를 적립해 퇴직할 때 지급하는 제도다.

 

퇴직공제에 가입해 건설현장에서 한 번이라도 일한 적이 있는 건설근로자는 139만명으로 나타났고 신규 가입한 사람은 32만7000명이었다.

전년에 비해 각각 2.1%와 6% 감소했다.

 

건설근로자의 고령화도 심각한 상황이다.

지난해 퇴직공제 가입자 139만명을 연령별로 보면 50대 이상은 52.2%, 50대 이하는 47.3%였다.

 

건설업으로 유입되는 근로자가 감소하고 고령화가 진행되는 동안 외국인 근로자 수는 크게 늘었다.

지난해 말까지 퇴직공제에 가입한 적이 있는 외국인 근로자는 39만2000명으로 전체 가입 근로자의 8%를 차지했다.

이들의 비중은 2011년 5.8%에서 2012년 6.2%, 2013년 6.7%, 2014년 7.3%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나이도 어려지고 있다.

30세 이하 비중이 2013년 32.0%에서 2014년 33.9%, 지난해 37.8%로 높아졌다.

 

건설근로자공제회는 불법체류 외국인의 경우 건강보험 등에 가입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실제 외국인 근로자는 더 많을 것으로 추산했다.

 

전문가들은 외국인 근로자 증가는 어쩔 수 없는 현상이지만 이에 따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현재 국내 건설현장에는 전문기술을 가진 숙련 근로자가 부족하다.

 

면허를 갖고 중장비를 다루거나 섬세한 마감이 필요한 인테리어 작업, 도면을 보고 동료에게 작업 지시를 할 수 있는 중간 관리자급 근로자들은 외국인으로 대체하기 힘들다.

 

외국인 근로자의 경우 대부분 단순 노무직을 담당하고 있어 전문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

의사소통에도 한계가 있어 업무효율도 떨어진다.

 

궁극적인 해결책은 더 많은 젊은이들이 건설업에 뛰어들어 인력 부족 문제가 해소되는 길이지만 쉽지 않다.

힘들고 위험하다는 인식 탓에 일을 배우려는 사람이 턱없이 부족하다.

 

업계 관계자는 “기능인력에 대한 대우를 제대로 해주지 못하다 보니 기술을 배우려는 젊은 사람들이 없다”며 “고령화와 함께 숙련인력의 부족현상은 생산성 저하와 산재증가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건설업계는 외국처럼 건설 기능인을 선발해 전문성을 길러주는 정부 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젊은 근로자에게 적정한 임금을 보장하고, 비용과 시간을 부담하더라도 기술자를 키울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야 한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외국인 근로자는 저임금이라는 장점은 있지만 일할 사람이 없다보니 울며 겨자먹기로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며 “현장의 근로자들이나 젊은이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적극적인 정책개발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