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한성원 기자] 정부가 공공택지의 공급을 축소한 데 이어 입찰마저 제한하면서 건설업계에 양극화가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지난달 26일부터 연말까지 추첨으로 공급·공고하는 공동주택 용지에 대해 최근 3년간 300가구 이상 주택건설 실적과 일정 수준의 시공능력이 있어야만 1순위 자격을 부여키로 했다.
이는 공공택지에 대해 계열사와 협력업체, 심지어 페이퍼컴퍼니까지 동원되는 무분별한 입찰에 제동을 걸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중소 건설사들은 현행 추첨제 방식의 공공택지 입찰 시 당첨 확률을 높이기 위해 이 같은 방법을 동원해온 것으로 확인됐다.
공공택지 입찰에 당첨된 계열사 등은 낙찰금액보다 낮은 가격으로 모회사에 전매하거나, 일부는 다른 회사에 넘긴 경우도 있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공공택지 입찰제한 도입으로 중소 건설사들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대형 건설사는 주택 매출 중 공공택지 비중이 20% 수준인 데 반해 중소 건설사는 재개발·재건축 사업장을 제외한 전체 매출의 90%가 공공택지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LH 관계자는 “이번 공공택지 입찰제한 도입은 그간 과열됐던 청약 시장을 진정시키려는 것”이라며 “우선 올 연말까지 시행한 뒤 시장 상황 등을 고려해 입찰제한 지속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LH는 지난달 정부가 내놓은 ‘가계부채 관리방안’에 따라 내년까지 수도권 신규 택지조성에 나서지 않기로 한 바 있어 건설업계의 양극화를 촉발시켰다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한 중소 건설사 관계자는 “정부 발표대로 택지지구 공급이 줄어들면 재개발·재건축 등 도시정비사업이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며 “그러나 도시정비사업의 경우 브랜드파워에서 밀리는 중소 건설사로서는 명함도 내밀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라고 토로했다.


전문가들 역시 건설업계의 양극화 현상에 대해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건설산업연구원 관계자는 “공급제한의 경우 2017년 예정 사업지부터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보여 내년 공급물량에 미치는 영향은 적을 것으로 전망된다”며 “다만 주로 서울이나 수도권에서 분양사업을 진행하는 대형 건설사들에 비해 장기적으로 택지개발을 중심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중소 건설사나 지방 건설사들이 큰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향후 부동산 시장의 전반적인 침체 속에 수도권이나 서울, 특히 강남권의 경우 오히려 집값이 오를 가능성이 높아 이를 두고 대형 건설사들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라며 “중소 건설사 입장에서는 높아진 분양가로 인해 수익을 기대하기 힘들어짐에 따라 분양 규모를 줄이는 등 수익성을 낮추는 선택을 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