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조관규 기자] 건설업계 산하 협·단체장의 상근직 논의가 재점화되고 있다.
특히 개인 자격을 회원의 조건으로 하는 협회 중 아직 회장 상근직을 이루지 못한 협·단체에서 이 같은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건설업계에서 이런 논의의 불씨를 처음 당긴 곳은 한국건설기술인협회.
건설기술인협회는 기술사 등 일정 자격을 갖춘 개인을 회원으로 하는 건설업계의 대표적인 ‘사람 단체’로 분류된다.


건설기술인협회처럼 개인자격을 회원으로 하는 사람 단체로는 변호사, 세무사, 법무사, 감정평가사, 공인중개사 등이 있다.
그러나 변호사협회 등 거론된 이들 협회는 모두 회장이 상근직이다.
변호사협회 회원은 1만9000여 명, 세무사협회 1만1000여 명, 법무사협회 6400여 명, 감정평가사협회 4000여 명, 공인중개사협회 8만5000여 명으로 구성돼 있다.
다시 말해 개인을 회원으로 하는 대형 협·단체는 모두 회장이 상근하고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유가 뭘까?
회장을 상징적 인물로 걸어두는 게 아니라, 회장이 직접 챙겨야 할 업무가 많다는 것이다.

 

회장 상근직 논의를 꺼낸 건설기술인협회 역시 회원수만 73만명의 대형 단체다.
지난 2012년 약 12억원의 적자를 내던 건설기술인협회가 2013년 김정중 회장이 부임하면서부터 적자를 4억7000만원으로 줄이는데 성공했다.
이어 2016년 재임을 거치면서 별관 임대수익으로 연간 10억원을 확보했고, 본관 임대수익 2억원을 확보했다.

김 회장은 여기에다 본관 개발에 대한 청사진을 마련하고 연간 8억여원의 또 다른 고정수익을 창출할 구상을 마쳤다.
앞으로 협회는 회비인상 없이 창출된 연간 20억원의 수익을 회원을 위해 어떻게 활용할지 투자처를 마련하는 등 전문적인 경영활동을 펼쳐나가야 한다.

 

여기에다 건설기술인협회는 건설분야 취업포털 ‘건설워크넷’을 운영하고 있으며, 회원전용 온라인 서비스몰 구축을 통한 우대서비스 확대, 건설기술인을 정책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연구센터 설립 등 회원을 위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지난해부터는 건설기술인들의 사회적 재평가를 통한 자긍심 제고를 위해  ‘건설기술인 사회적 위상제고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처럼 방대한 업무를 소화하기에는 비상근직 회장은 한계가 있다는 것이 건설기술인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건설기술인협회 현직 김 회장은 지난 1943년 충남 논산에서 태어나 1966년 한양대 건축공학과를 졸업한 뒤 현대산업개발에 입사해 상무 전무를 거쳐 대표이사 사장, 부회장까지 승진한 인물이다.
신입사원으로 입사해 일반 직원이 오를 수 있는 최고의 자리까지 올라간 사람이다.
이 사람이 협회의 경영 전반을 들여다보는 눈은 기존의 회장들과는 달랐다.
“고치고 고치고 고치다보니 여기까지 왔다”며 “임기 채우고 가면 그뿐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런 마음가짐이 허용되지 않는 태생적 한계를 지녔다”는 것이 김 회장의 고백이다.


김 회장은 그러나 소위 상근직이 필요하나 여기에 파생되는 문제점을 간과할 만큼 어리석지는 않다.
협회가 국토교통부의 위탁업무를 처리하는 곳이기에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
실제로 지난해 1월 회장 상근을 골자로 하는 의안을 정기총회에 상정해 통과됐으나, 국토부가 ‘정관변경 승인’을 불허하는 바람에 무산되기도 했다.


김 회장은 이어 올 초 회장 선거에 재도전하면서 ‘회장 상근제’를 공약에 넣었다가, ‘개인적 욕심’이라는 마타도어 전략에 직면하면서 지난 3월 공약에서 이를 삭제했다.
그러나 어찌됐든 지난해 국토부 불허로 유야무야됐던 회장 상근제 문제가 올초 선거를 통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된 셈이다.

여기에다 지난달 13일 ‘건설기술인의 사회적 위상제고와 협회 역할증대 방안’ 세미나에 참석한 대의원들은 “이 정도 규모의 업무와 예산을 운용하는 조직이라면 책임행정을 위해서라도 회장 상근제 시행이 가급적 빠를수록 좋을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김 회장은 “젊은 시절 치열한 경쟁사회에서 도전해볼 만큼 도전해봤고 성취할 만큼 성취해봤기에 다른 미련은 없다”고 말하고 “다만, 지금의 업무량도 상당한 부하가 걸리는 실정이니 책임경영 전문경영을 위해 회장 상근제는 조속히 시행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