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한성원 기자] 브렉시트(Brexit)가 현실화 되면서 국내 건설업계도 적지 않은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해외건설 시장과 부동산 시장이 브렉시트의 후폭풍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브렉시트는 영국(Britain)의 유럽연합 탈퇴(Exit)를 의미한다.
영국은 지난달 23일 치러진 국민투표에서 찬성 51.9%, 반대 48.1%로 유럽연합 탈퇴를 결정한 바 있다.


이로 인해 전 세계 경제는 요동을 쳤다.
브렉시트 발표 직후 5% 가까이 급락한 국제유가가 향후 40달러 밑으로 떨어질 수 있다는 비관적인 전망도 나왔다.


전문가들은 국내 건설업계도 브렉시트의 무풍지대는 아닐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일단 저유가 기조가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해외건설 수주가 원활치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가능하다.
글로벌 경기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금융조달이 어려워질 경우 예정된 프로젝트의 발주가 연기되거나 축소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 아시아 지역에 비해 브렉시트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큰 중남미 지역 건설 수주에 부정적 영향이 예상된다.


국내에서는 부동산 시장에 대한 우려가 크다.
브렉시트 여파로 내수경기가 둔화되면서 주택구매력이 위축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아울러 최근 하반기 집단대출 규제 강화 이슈가 부각되면서 신규주택 분양시장도 동반 위축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다만 이번 브렉시트의 여파가 지난 2008년 미국 투자은행 리먼브라더스의 파산으로 촉발된 글로벌 금융위기에 비할 바는 아니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실제로 브렉시트 직후 큰 폭으로 떨어졌던 세계 주요증시는 다시 상승세로 돌아서며 브렉시트 이전 수준을 회복하고 있는 상태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김민형 연구위원은 “브렉시트가 국내 경제와 건설·부동산 경기에 미칠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지만 달러화 강세의 지속으로 외환이 과도하게 유출되는 등 국내 금융환경이 악화될 경우 금융기관의 대출제한 정책, 미청구공사액·미수금 등 잠재적 손실위험 등과 맞물려 건설업체의 신용등급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꼬집었다.


이에 따라 유동성 확보가 브렉시트에 대응하기 위한 건설업계의 당면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김 연구위원은 “올 하반기 경기하방 압력이 가중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저금리나 대선 변수를 제외하면 내년까지도 국내 경기의 뚜렷한 상승 요인이 없는 상황인 만큼 브렉시트 등 환경 변화를 겨냥한 사업 및 조직구조의 점진적 개선 작업에 착수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