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의역 스크린도어 정비사 사망사고, 남양주 지하철 공사장 붕괴사고가 잇따르면서 건설현장의 잘못된 관행들을 성토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안전관리도 투자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지난 1일 오전 7시 27분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선 복선전철 주곡2교 하부통과구간 지하 공사현장에서 폭발·붕괴사고가 발생해 근로자 4명이 숨지고 10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사고는 가스통과 산소통을 호스로 연결해 용접기로 철근을 잘라내는 용단작업을 하던 중 발생했다.
경찰은 산소절단기에 연결하는 가스 호스를 지하 작업장에 방치한 채 밸브만 잠그고 퇴근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해왔다는 현장 근로자들의 진술을 토대로 밸브가 확실히 잠기지 않은 상태에서 가스가 새면서 폭발로 이어졌을 것으로 보고 있다.


사고 원인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건설현장의 안전불감증이 화두로 떠올랐다.


남양주경찰서에 따르면 사고 당시 현장에는 정규직 안전관리자가 한 명도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물론 이는 인건비를 줄이기 위한 꼼수로 추측할 수 있다.
그러나 안전관리자가 계약직일 경우 사측의 공기단축 요구나 안전관리비 감축 행태 등을 묵과할 수밖에 없어 부실시공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아울러 사고 현장 근로자들은 화재와 폭발 위험, 가스누출 유무 확인 등에 대한 안전교육도 받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이번 사고로 피해를 입은 사상자 14명이 모두 하도급업체에서 고용한 일용직 근로자였다는 점에서 건설현장의 불공정한 하도급 관행이 다시 한 번 회자되기도 했다.


이에 앞서 지난달 28일에는 서울 구의역에서 스크린도어 정비사가 작업 중 전동차와 스크린도어 사이에 끼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 역시 하청업체 비정규직 신분으로 격무에 시달려야 했던 스크린도어 정비사들의 열악한 근무환경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연이은 두 사고의 원인들이 속속 밝혀지면서 정부와 지자체, 그리고 관계 당국들은 저마다 대대적인 안전점검은 물론 건설현장의 불공정 하도급 관행을 뿌리 뽑기 위한 대책들을 쏟아내고 있다.


문제는 이 같은 일련의 과정들이 의미 없이 되풀이되고 있다는 데 있다.


스크린도어 작업 중 사망사고가 발생한 것은 지난 2013년 1월 성수역, 지난해 8월 강남역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서울메트로는 강남역 사고 이후 스크린도어 정비 때 2인 1조 작업을 원칙으로 하고 1명은 열차를 감시할 수 있도록 안전수칙을 마련한 바 있다.
그러나 이번 구의역 사고 당시 이 안전수칙은 지켜지지 않았다.


건설현장의 불공정 하도급 관행 역시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다.


전문가들은 무엇보다 건설현장에서 안전관리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아무래도 건설현장에서는 가능한 저가로 공사를 완료해 많은 이익을 남겨야 한다는 의식이 강할 수밖에 없다”며 “결국 안전관리에 대해 ‘추가 비용’이라는 인식이 남아있는 한 안전에 허점이 생기게 마련”이라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안전관리에도 투자가 필요하다는 인식의 전환이 가능할 때 건설현장에서 안전관리의 사각지대를 없앨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