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비즈니스 등으로 항공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지방공항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지방공항 건설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온갖 잡음이 끊이지 않아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항공여객은 전년 대비 9.8% 증가한 8941만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국제선 여객(6143만명)은 사상 처음으로 6000만명을 넘어섰다.


이처럼 항공여객의 수가 점점 늘어나면서 지방공항의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현재 국내 지방공항은 김포, 김해, 제주, 대구, 광주, 청주, 양양, 무안, 울산, 여수, 사천, 포항, 군산, 원주 등 14개다.
여기에 제주2공항과 영남권 신공항, 울릉공항 등이 이름을 올릴 예정이다.


문제는 이들 지방공항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온갖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는 데 있다.
이유도 천차만별이다.


제주2공항의 경우 건설부지로 선정된 지역 주민들의 반대가 거세다.


제주공항의 터미널 수용능력은 2600만명 수준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제주공항 이용객은 2014년 2400만명에서 향후 5년간 연평균 10.1%씩 증가해 2018년 2830만명, 2020년 3211만명, 2030년 4424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제주2공항을 오는 2018년 착공해 2025년 개항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공항부지 후보지로 선정된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온평리, 신산리, 난산리 등의 주민들은 부지 선정 과정에서 국토부의 일방적이고 기습적인 발표, 대기업 특혜의혹 및 로비 가능성, 연구용역의 타당성 부족 등을 지적하고 나섰다.


특히 지난달 13일 제주도청에서 열린 제주공항 인프라 확충 정책자문위원회에서 서울 소재 모 대학교수가 제주2공항 갈등의 성격을 전형적인 님비(NIMBY, Not In My Back Yard)현상으로 표현하면서 해당 지역 주민들의 공분을 사기도 했다.


지난 1978년 당시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 이후 38년째 논의되고 있는 울릉공항은 반대의 경우다.


울릉도는 겨울철 강풍과 높은 파도로 유일한 교통수단인 뱃길이 끊기는 날이 연평균 70일이 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관광객의 발길이 끊길 경우 생계에 막대한 타격을 입는 울릉도 주민들에게 울릉공항은 오랜 숙원일 수밖에 없다.


이에 국토부와 부산지방항공청은 오는 2020년까지 총 5800억원을 들여 울릉군 울릉읍 사동리 앞바다에 공항을 만들기로 했다.
그러나 공사 입찰에 참여가 예상됐던 포스코건설과 대림산업이 입찰포기각서를 제출하면서 울릉공항 건설계획은 암초에 부딪혔다.
활주로 건설을 위해 바다를 매립하는 데 사용할 울릉도 내의 흙과 바위가 기준치에 미치지 못해 이를 육지에서 운반할 경우 사업비가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밖에 없다는 것이 두 건설사들의 판단이다.


오는 2023년이면 활주로 용량이 포화상태에 이를 김해공항의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는 영남권 신공항은 입지 선정을 두고 지역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지난 3월 4일 서병수 부산시장이 언론을 통해 “국제관문공항을 부산(가덕도)에 건설하는 것이 영남권 상생의 길”이라고 포문을 열자 홍준표 경남지사는 5일 후 도의회에서 “영남권 5개 시·도 중 부산만 가덕도를 주장하고 있으니 절대적으로 밀양이 유리하다”고 맞받아쳤다.


국토부는 파리공항공단 엔지니어링 컨소시엄의 연구용역 결과가 나오는 대로 이달 중 최종 입지를 선정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신공항의 타당성이 높지 않을 경우 전면 백지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대규모 SOC 시설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이해관계가 상충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부분”이라며 “항공여객의 증가세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공항 인프라 확대가 시급한 만큼 지역 주민들에 대한 보상 등 문제들을 하루빨리 조율해 지방공항이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