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전국에서 최대 35개의 도시재생 사업이 시작돼 건설업계의 일감도 늘어날 전망이다.
도시재생 사업비가 적게는 수백억원에서 많게는 수천억원에 달해 건설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건설사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국회에서 내년도 예산안이 심의·의결되는 대로 경제기반형 5곳, 근린재생형 30곳 등 최대 35개 도시재생선도지역을 선정·발표할 계획이다.
지난해 선도지역으로 선정돼 올 초 사업계획이 승인된 12개 사업까지 합치면 전국에서 총 47개의 도시재생 사업이 진행되는 것이다.


국토부는 쇠퇴가 심각하고 파급효과가 높은 지역을 재생하기 위해 지자체로부터 제안을 받아 도시재생선도지역을 선정하고 있다.
사업대상지로 선정되면 정부가 지원하는 자금(40년간 최대 100억~250억원)을 마중물 삼아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도시재생선도지역은 경제기반형과 근린재생형으로 구분된다.
경제기반형은 경제회복효과가 큰 핵심시설을 정비 또는 복합개발해 도시에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근린재생형은 쇠퇴한 구도심 및 중심시가지 등의 활성화가 필요한 지역과 생활여건이 열악한 노후·불량 주거지역 등을 개선하는 사업이다.


도시재생이 건설업계의 새로운 수익원이 될 수 있는 것은 대규모 사업비가 투입되기 때문이다.
올해 국토부 도시재생선도지역 공모에 참여한 11개 경제기반형의 평균 사업비는 9397억원이다.
사업비가 가장 많은 곳은 3조3879억원, 가장 적은 곳은 2062억원이다.
특히 이중 2곳은 사업비가 각각 2조596억원, 3조3879억으로 조 단위를 넘어 선도지역으로 선정될 경우 파급효과는 상당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지난해 근린재생형으로 선정된 천안(2080억원), 창원(1765억원), 순천(1480억원), 공주(1036억원) 등도 사업비가 1000억원을 넘는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LH가 발주하는 아파트 건설공사비가 1000억원 안팎인 것을 감안하면 결코 적은 액수가 아니다”라며 “건설사도 새로운 수익 확보를 위해 도시재생 시장 진출을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도시재생 시장 전망도 밝다.
정부 정책에 맞춰 공기업 기능이 변하고 지자체도 신규 사업 발굴 등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기금 지원 대상을 주택건설 분야뿐 아니라 도시재생 및 주거개선 사업까지 확대하고 지원 방식도 융자, 출자, 투·융자, 보증 등으로 확대했다.
또 최근에는 새로운 도시재생 금융지원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도시재생 지원기구로 지정된 LH는 도시재생과 주거복지 기능을 향후 10년 이내에 37%에서 50%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지자체 중에서는 서울시가 내년도 도시재생 사업 예산을 올해보다 33% 늘어난 4343억원으로 편성했다.
부산시는 ‘도시재생 10년 전략’을 수립하고 매년 2~4건의 도시재생 사업을 시행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건설사 한 관계자는 “정부 의지가 강해 도시재생이 새로운 수익원이 되는 것은 시간문제일 것이라고 생각되지만 초기단계라 지켜보고 있다”며 “선도지역에서 성공모델이 나와 수익이 가시화된다면 사업 참여는 당연한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