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산업에서 BIM(건축정보모델링)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
설계변경을 최소화하고 시공오류를 줄여주는데다 안전이나 환경에 대한 공사방해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어 건축공사를 중심으로 활용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도로나 철도 등 대형 토목공사에서는 기술력과 높은 비용 등으로 적용 사례가 드물어 시범사업 확대 등 활성화 방안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11일 BIM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BIM 시장은 240억원 규모지만 오는 2018년에는 시장 규모가  3000억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내년부터 조달청 발주공사 전부가 BIM 설계 대상으로 포함하고, 500억원 이상의 공공조달발주에 BIM 설계가 의무화된다.
특히 국토교통부가 오는 2020년까지 사회기반시설(SOC) 공사의 20% 이상에 BIM을 적용할 계획이어서 시장 규모는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BIM은 건축, 토목, 플랜트를 포함한 모든 건설분야에서 시설물을 짓기 전에 가상공간에 3차원 모델링 기법을 이용해 완성해보는 기법이다.
실제 공사에서 발생할 수 있는 토목구조, 건축구조, MEP(Mechanical Electrical and Plumbing), 환경 등 간섭 등을 사전에 파악해 공사가 원만히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BIM을 적용하면 시행착오가 줄어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비용이 절약된다.
또 안전이나 환경요인에 의한 공사 방해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어 공사 효율성이 극대화된다.


이 때문에서 국내에서도 BIM 적용이 늘고 있다.
한국빌딩스마트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설계사무소와 엔지니어링사, CM사 등의 BIM 적용 실적은 모두 100건이다.
그러나 대부분 상업, 문화 및 집회, 업무, 주거시설 등 건축공사에 국한돼 있다.


토목공사는 작업체계가 비반복적, 수평적, 비정형적인데다 프로젝트 수행 범위가 넓고 발생하는 정보의 양도 많아 적용이 드물다.
특히 BIM 적용을 위한 초기 투자비용이 높고 투자대비 효과에 대한 확신도 낮아 건설사나 설계사가 적용을 꺼리는 게 현실이다.
미국의 경우 2013년 기준 전체 토목공사의 25%에 BIM이 적용됐다.
또 싱가포르는 지하철에, 영국은 크로스레일 프로젝트에, 일본은 35개의 국도에, 오만은 조선소 등에 BIM을 적용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해외처럼 국내 토목공사에서 BIM 활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시범사업 확대가 필수적이라고 주장한다.


업계 한 관계자는 “BIM은 효용성이 크기 때문에 SOC 등 토목공사에서 활용할 경우 생산성을 높여 국가 예산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며 “정부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시범사업을 확대한다면 관련 기술개발은 물론 제도 정착도 훨씬 빨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표준화 및 표준 가이드라인 수립도 서둘러야 될 사항으로 지적되고 있다.
국토부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공동으로 토목공사에 BIM을 접목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주된 연구 내용은 서로 다른 토목용 소프트웨어로 제작된 BIM 자료의 표준파일 변환 및 공유기반 마련, 토목 BIM 유효성 및 활용성 검증, 성과품 검사도구 및 납품시스템 구축, BIM 발주 가이드라인 개발 등이다.


이와 함께 정부의 정책 의지도 중요하다.
건설연 주기범 연구위원은 “현장에서 토목 BIM 기반의 설계 및 시공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BIM의 장점을 경험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정부가 산학연관의 협동체계를 구축해 BIM 설계 대가기준, 설계성과품 납품지침 등 제도적 기반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