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소 건설시장보다 해체시장규모가 커지면서 해체산업이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 2013년 기준 전 세계 584기가 건설돼 이 중 435기가 운전 중이고 149기는 수명이 다 돼 영구 정지 중이다.
영구 정지된 149기 중 해체가 완료된 것은 19기인데 보통 1기를 해체하는 데는 독일사례 기준으로 1조~2조7000억원의 비용이 소요된다.


전 세계 435기 원전의 수명을 평균 50년으로 계산하면 매년 10조원 규모의 시장이 되는 것이다.

원전 건설시장 규모가 연간 5조원대인 것을 감안하면 2배 이상인 셈이다.
실제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오는 2050년까지 시장규모가 1000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 원전 해체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는 독일 미국 일본 등 3개국 정도에 불과하다.
이들이 지금 원전 해체시장을 석권하고 있지만 오는 2030년 이후부터는 해체 수요가 급증해 이들 국가가 전부 감당하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원전 해체산업의 경제성이 높은 이유다.


이처럼 원전 해체산업이 블루오션으로 부상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원전 해체산업 진출에 필수적인 기술개발이 더디고 관련 전문가와 기술자도 부족한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원전 해체를 위한 핵심기술 38개 가운데 오염 토양 처리기술 등 17개 기술을 상용화했지만 나머지 오염 복원기술, 고방사성 폐기물 안정화기술, 우라늄 폐기물 처리기술 등은 아직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물론 우리나라도 2㎿급 연구용 원자로를 해체한 경험이 있지만 선진국 대비 해체기술력은 70% 수준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부도 이 같은 사실을 인지하고 해체산업 진흥을 위한 노력에 힘을 쏟고 있다.
정부는 원전 해체 관련 기술 개발의 전진기지 역할을 할 ‘원자력 해체기술 종합연구센터’를 오는 2019년까지 건립할 계획이다.
연구센터는 원전시설 오염물질 제거에서부터 핵폐기물 처리까지 전 과정의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검증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정부는 또 오는 2021년까지 1500억원을 투자해 아직 확보하지 못한 21개 기술의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다.
기술 개발이 완료되면 국내 최고령 원전인 고리 1호기를 우리 기술로 해체할 수 있다.
고리 1호기는 지난 2007년에 설계수명이 만료됐지만 이듬해 1월 계속운전이 승인돼 오는 2017년까지 수명이 연장된 상태다.


원전 해체산업 진흥을 위해 국회서도 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새누리당 하태경 의원은 지난 13일 원전 해체산업 계획수립, 전문인력 양성 등을 골자로 하는  ‘원자력시설 해체산업 진흥법’을 발의했다.


하태경 의원은 “국내에는 2012년 말 기준으로 총 23기가 상업운전 중에 있다”며 “이 원전들은 앞으로 20∼30년 내 해체시점이 도래하기 때문에 안정적이고 자립적인 해체를 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