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재건축 가능 연한 단축 효과에 대한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한쪽에서는 수혜가 예상되는 아파트 가격이 급등하고 매물이 사라진 점을 들어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반면 다른 한쪽에서는 재건축 가능 연한 단축이 수익성 개선과 무관하기 때문에 활성화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론도 나오고 있다.


주택건설업계도 재건축 사업 수주에서 재미를 보고 있는 대형 건설사와 고전하고 있는 중견 건설사가 미묘한 시각차를 보이고 있다.

 
정부는 19일 재건축 가능 연한 단축 등을 내용으로 하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했다.
지난 9·1 부동산 대책을 통해 알려진 내용이라 특별할 건 없지만 효과를 놓고 의견이 갈리고 있다.
부동산 및 건설업계는 재건축 가능 연한 완화로 시장 분위기가 반전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 지난 1일 정부 발표 이후 서울 목동과 상계동에서는 아파트 호가가 2주 사이에 3000만원가량 올랐다.
목동 2~6단지와 상계동 주공아파트는 지난 1980년대 후반 준공돼 재건축 연한 단축의 수혜를 받는 단지다.
재건축 단지가 즐비한 강남구와 서초구에서도 재건축 아파트 가격이 2000만~5000만원가량 오르고 매물도 사라졌다.


아파트 경매시장에서도 기대감은 이어졌다.
지난 11일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경매에서 강남구 일원동의 개포한신(105㎡)는 감정가 6억5000만원보다도 높은 6억9180만원에 낙찰됐다.
이 아파트는 올해가 준공 30년이 된다.
지난달 한번 유찰돼 최저가 5억2000만원에 경매에 붙여졌으나 이번 대책에 힘입어 경매자가 30여명이나 몰렸다.

부동산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 발표만으로도 재건축 시장이 들썩거리고 있다”며 “단축 혜택을 받는 단지들이 재건축 사업을 추진할 경우 부동산시장 상승의 견인차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아직 시장 분위기를 속단하기는 이르다는 의견도 있다.
재건축 가능 연한 완화가 시장 활성화에는 도움이 되겠지만 사업성을 개선시켜 주지는 못하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건축 사업은 용적률에 따라 수익성이 결정된다.
용적률이 높아야 조합원 분담금이 줄고 일반분양 물량을 늘릴 수 있다.
그러나 이미 용적률 200%가 적용된 단지들은 재건축이 된다 해도 올릴 수 있는 한도가 50%에 불과하다.
이런 단지들은 조합원이 늘어나는 분담금을 감당할 수 있거나 주변 시세가 높아야만 재건축 사업이 진행될 수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사업 추진이 빨라졌다고 해도 분담금을 1억~2억씩 내고 재건축을 할 사람은 많지 않다”며 “이번 대책의 혜택은 서울 강남 등 일부에 국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주택건설업계는 효과보다는 앞으로의 대응방식에서 차이가 났다.
삼성물산, 현대건설, 대우건설, GS건설, 대림산업, SK건설, 현대산업개발 등 대형 건설사는 재건축 사업이 쉬워지는 만큼 수주 물량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들 건설사가 신규 사업보다는 재건축·재개발 등 도시정비 사업에 집중할 가능성 높다.
일부 건설사는 이미 시공사 선정이 앞당겨지는 재건축 단지의 사업성 파악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중견 건설사는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재건축 조합원은 시공사 제안이 엇비슷하면 브랜드 인지도가 높은 쪽에 손을 들어 준다.
중견 건설사들이 그동안 수준전에서 고전했던 이유다.
이 때문에 중견 건설사는 재건축 추진 단지가 많아져도 대형 건설사만 이득을 볼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중견 건설사 한 관계자는 “대형 건설사가 소화하지 못할 정도의 재건축 물량이 나온다면야 수주를 기대해 볼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상황에서는 남의 집 잔치를 지켜봐야하는 신세가 될 것”이라며 “자체 사업에 집중하면서 이른 시간 안에 브랜드 인지도를 높여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