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건설 자재 업체들이 해외인증 획득으로 활로를 찾고 있다.
유력 해외인증을 딸 경우 동남아와 중남미 등 신흥시장 수출길이 쉽게 열리기 때문이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SOC 부진 등 국내 건설경기 침체로 수익성이 악화된 건설 자재 업체가 해외인증 획득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실제로 교량 관련 부품을 제조하는 경기도 소재 A사는 자사의 제품에 대해 유럽공동체마크(CE) 인증 획득 절차를 밟고 있다.
이 회사는 CE 인증을 통해 유럽뿐만 아니라 중동·동남아시장에 대한 수출까지도 기대하고 있다.

도로 시설 자재 생산업체인 B사는 미국 UL(Underwriter`s Laboratories) 인증을 따기 위해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UL인증을 획득할 경우 북미뿐 아니라 중남미에 대한 수출도 늘릴 수 있을 것이란 판단이다.

 

중소 건설 자재업체가 해외인증 획득에 적극 나서고 있다.
그 중 까다롭기로 유명한 CE 인증이나 UL 인증이 단연 인기를 끌고 있다.
이들 인증은 공신력이 높아 신흥시장에서 그대로 통용돼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해외 수출이 훨씬 용이하기 때문이다.

 

중소 건설 자재 기업이 유명 해외인증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우선 비용 문제다.
CE 인증의 경우 심사 과정이 세 단계로 나뉜다.
단순 소비재 등은 적합 여부를 판단하지만 전자제품 등에 대해서는 심사가 까다로워진다.
특히 안전과 직결되는 건설 자재 등에 대해서는 최고 단계의 심사를 거친다.
그러다보니 자연히 심사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건설 자재 특성상 제조 및 운송비, 테스트 비용이 보통 수천만 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단번에 인증을 통과하면 다행이지만 결함 등이 발견돼 재인증이라도 받게 되면 비용이 몇 배에 이르는 경우가 있다.
 
또 해외인증을 진행하는 데 필요한 전문인력도 부족한 실정이다.
해외인증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짧게는 수개 월에서 길게는 1년 이상 소요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중소기업은 이를 담당할 전문인력 확보가 어려운 데다 인건비 또한 감당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정부도 이 같은 기업의 어려움을 해소키 위해 해외인증 지원제도를 운영 중이지만 예산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중소기업청은 매년 ‘해외규격인증획득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이는 해외정보와 전문 인력이 부족해 수출대상국이 요구하는 해외규격인증을 획득하지 못하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인증획득 비용 일부와 필요시 컨설팅까지 지원하는 사업이다.

중기청은 182개의 해외인증을 대상으로 1개 인증당 3000만 원에서 5000만 원까지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새 정부 출범에 따라 기존 예산 106억 원에 100억 원을 추가 투입했다.
올해는 130억 원의 예산을 책정했다.

 

업계는 정부의 해외인증 지원 제도에는 공감하면서도 중소기업에 해외인증 획득으로 만족할 만한 경쟁력을 갖추는 데는 예산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중소 건설 자재 생산 기업의 한 관계자는 “한계에 이른 국내 건설시장에서 중소기업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해외로 진출하는 방법 밖에 없다”며 “해외인증 획득이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는 만큼 인증 지원 범위와 지원액을 대폭 늘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