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기관의 대출 축소로 돈줄이 막힌 건설사들이 애를 태우고 있다.

5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최근 건설경기 악화로 금융기관이 여신을 축소하며 중견중소 건설사가 자금난을 겪고 있다.

실제로 최근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해 4분기 예금취급기관의 산업별대출금 현황을 보면 건설사의 자금 부족 상황이 여실히 드러난다.

 

산업별대출금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예금취급기관의 산업대출은 전분기대비 2조1000억 원이 증가했다.

취급기관별로는 예금은행 대출이 4조6000억 원 증가한 데 반해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대출은 2조5000억 원이 감소했다.

서비스업 대출이 9조2000억 원 증가한 가운데 건설업은 2조4000억 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건설업 대출 규모는 지난 2012년 4분기 대비 2조3000억 원이 줄어든 것이다.

 

종합건설업체에 대한 대출은 1조6000억 원 감소했으며 전문건설업체에 대한 대출도 9000억 원 감소했다.

눈에 띄는 것은 대출 감소분 대부분이 운전자금에서 발생해 건설업체의 자금 압박을 심화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자금 부족에 시달리는 일부 대형건설사의 경우 그룹차원의 자금 지원이나 신인도를 바탕으로 자금 수혈이 가능하지만 그렇지 못한 중소중견건설사는 기댈 언덕이 없는 현실이다.

 

신규 SOC 발주를 최대한 자제하려는 정부 정책 기조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SOC부문의 신규 발주는 최소화하고 기존 사업도 재검토하겠다는 입장을 여러 차례 밝힌 바 있다.

건설업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도 부족한 실정이다.
다수의 중소중견 건설기업은 국내 건설업 침체로 해외에서 신규 시장을 개척하고자 하지만 대출 문턱이 높아 이마저 여의치 않다.

금융기관이 수주 프로젝트의 성격과 관계 없이 보증을 요구하고 있어 대출을 받기 어려운 상황이 되풀이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설상가상으로 정책금융을 담당하는 한국수출입은행이나 한국정책금융공사는 최근 사장이 내정되거나 통합을 앞두고 있어 어수선한 분위기다.

이런 상황에서 건설기업의 해외진출을 위한 정부와 금융기관의 정책적 결단을 기대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판단이다.

국책 금융기관의 한 관계자는 “건설업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일부 우량 건설기업을 중심으로 대출이 이뤄지고 있다”며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경기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금융기관의 대출 문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