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투자개발형 사업에 국내 보험사의 자금을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적절한 투자처를 찾지 못하고 있는 국내 보험사들의 풍부한 원화 유동성을 해외 건설사업에 활용한다는 것이다.

 

국토연구원과 글로벌개발협력포럼은 8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해외개발금융의 과제와 활성화 방안’ 세미나를 공동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투자개발형 사업으로 해외건설 시장이 급격히 개편됨에 따라 개발금융을 통한 투자개발형 사업 진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해외건설시장은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투자 개발형 사업 발주가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자금조달 등의 문제로 국내건설사들은 투자개발형 사업 중심으로 수주 전략을 전환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

 

세미나에서 코리아인프라스트럭쳐의 송병록 대표는 “투자개발형 사업의 실적부진 원인은 금융”이라며 “국내에서 가장 풍부한 원화 유동성을 확보하고 있는 보험사들의 자금을 활용한다면 이같은 문제를 보완할 수 있다”고 말했다.   

 

KDB대우증권 PF부의 전응철 상무도 “이미 국내 플랜트 사업 등에는 보험사 자금이 투입된 사례가 있다”며 “보험사 자금에 대해서는 F/X 리스크(환 위험 리스크) 노출이 제도적으로 제한돼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제도적 개선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보험사 자금의 환위험 리스크를 보완하는 정부의 정책적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해외시장 활성화를 위해 해외 투자 사업에 대한 타당성 및 리스크 분석능력 배양이 필요하다고 지적됐다.

 

코트라 박관식 자문위원은 “투자개발형 사업 활성화를 위해 가장 시급한 것은 전문 인력 배양”이라며 “해외사업은 국내와 달리 잘못된 판단을 하게 엄청난 손실을 입기 때문에 계약서 및 관련국 법 제도 검토가 가능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전문인력 배양을 통한 사업 타당성 분석 및 프로젝트 리스크 분석능력을 향상시켜 신뢰성 있는 금융지원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공공기관 예비타당성 조사 제도의 개선 필요성도 지적됐다.
코리아인프라스트럭쳐의 송병록 대표는 “300억 이상 해외 사업에 투자할 경우 공기업은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치도록 규정돼 있다”며 “이에 따라 프로젝트 검토기간이 증가하면서 적기에 투자의사를 결정하기 힘들어 사업을 수주하는데 어려움이 크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상업금융 활성화 방안 △해외건설 컨트롤 타워 구축 △수익증권형 펀드의 해외사업 직접 투자 허용  등이 논의됐다.

 

세미나에 참석한 해외건설협회 김종현 사업지원본부장은 “해외 건설업계에서 체감되는 어려움은 금융업계에서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심각하다”며 “세미나에서 제기된 의견을 토대로 제도 개선안 마련이 시급히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