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2일 경남 고성군 고성읍 수남사거리 도로 아래 250㎜ 낡은 수도관이 파열돼 도로가 온통 물바다가 되면서 하루 종일 차량 통행에 지장을 줬다.

 

지난해 12월 27일 서울 가양동에서 2400㎜ 상수도관이 파열되면서 인천 대곡동 일대 고지대 5000가구에 수돗물 공급이 24시간 동안 중단되면서 주민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수돗물과 관련한 사회적 비용이 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상수도 시스템에 대한 업그레이드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서만 최소 6건의 상수도관 파열이 발생했고 이로 인해 수만 가구에 수돗물 공급이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같은 상수도관 파열은 노후화로 인한 자재 부식 등이 원인으로 밝혀졌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현동 박사는 “우리나라에 상수도가 들어온 지 100년이 넘었지만 그동안 체계적인 관리는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며 “지난 1950년대 6.25 전쟁 등으로 개선 작업이 제때 이뤄지지 못하면서 향후 5∼10년 이내에 수돗물 문제가 심각한 사회 이슈로 부상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환경부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에 매설된 전체 상수도관 16만8000㎞ 가운데 20년 이상된 구간은 4만3000㎞, 5년 내 20년에 이르는 구만만 2만7200㎞에 달했다.

 

상수도관의 노후화로 인해 누수율 또한 선진국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전국 평균 누수율은 10%인 데 비해 우리나라는 평균 25%대에 이르렀으며 지방의 경우 30%에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는 원수관리와 정수처리분야는 세계 수준이지만 정수장에서 최종 소비처까지의 공급배관망 수준은 일본보다 20∼30년 뒤처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공급배관망에 대한 관리가 제때 이뤄지지 않으면서 고지대의 경우 조금만 가뭄이 들어도 수돗물 공급이 중단되는 사태가 해마다 반복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상수도망에 대한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관리 방안이 부재하다는 점이다.

실제로 땅속 상수도관의 도면조차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은 지역이 수두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시설안전공단 현장 관계자는 “도면대로 땅속을 파보면 이쪽에 있어야 할 수도관이 도로 건너편에 있는 경우가 허다하다”며 “GIS 등을 활용해 정확한 수도관망도부터 먼저 구축하는 게 시급하다”고 말했다. 

 

상수도망 관리를 위한 충분한 예산 확보도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에서 관리하는 하수관거와 달리 상수도는 지자체가 관리 주체이기 때문이다.

그러지 않아도 예산 부족에 시달리는 지차체 입장에서 제대로 된 상수도 관리는 버거운 것이 현실이다.

 

정부는 하수도의 경우 국비를 들여 ‘하수관거 BTL(임대형 민자사업)’을 추진했으나 상수도망 개선에 대한 예산 지원에는 난색을 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건설연 이현동 박사는 “원활한 물공급이 이뤄지지 않으면 타격을 가장 많이 받는 쪽은 사회취약계층”이라며 “물 복지 차원에서 재원을 마련해 단계적으로 상수도망 업그레이드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