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물의 3차원(3D) 설계 시대가 본격화 된다.


국토해양부는 3차원 설계를 본격화하기에 앞서 ‘공동주택의 BIM 활성화 방안’을 제시할 용역 수행자를 모집하고 있다.
국토부 공공주택개발과는 LH공사와 함께 1억5000만원의 연구용역비를 내걸고, 지난 8일부터 민간 연구 기관을 상대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활성화 방안을 찾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다 건축기획과는 제3차 지능형 건축행정시스템 구축을 추진하면서 건축 인허가 과정에 BIM을 도입하기 위한 단계별 적용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건축기획과는 모두 17억9000만원의 용역수행비를 투입, 민원인용 BIM 모델 제출시스템 및 인허가 담당자용 BIM모델 관리시스템을 개발할 소프트웨어 개발 사업자를 찾고 있다. 


국토부의 이 같은 일련의 움직임은 건축물의 설계 관련 인허가 행정을 기존의 평면설계에서 3차원 설계(BIM) 체제로 변경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평면설계가 아닌 3차원 입체설계로 건축 프로세스(공정 및 공기)를 단축하고 사전 시뮬레이션(모의 실험)을 통해 건축물 설계에 완벽을 기하겠다는 의도인 것이다.


선박이나 자동차 비행기 등에서는 이미 3차원 설계가 일반화 돼 왔으나, 건설산업 분야에서는 다소 늦게 도입된 게 사실이다.
미국 유럽 등 건설 선진국에서는 10여년 전부터 도입했으나, 국내 설계업계에서는 손쉬운 평면(2D)설계를 고집해 왔다.


그러나 IT기술 발달로 건설산업이 인력중심에서 기술중심으로 진화하고, 특히 해외발주자들은 초고층 복합빌딩을 요구하는 등 건물이 첨단화 복잡화 되고 있는 추세에 평면설계는 한계에 부딪히게 됐다.
여기에다 조달청은 지난 지난해 공공청사 등에 대한 발주 지침을 수립, 내년부터는 500억원 이상 공사에 BIM을 의무 적용토록 했다.
이는 건설 선진국의 BIM 적용 결과, 공기와 비용을 20~30% 가량 절감할 수 있었으며, 친환경 설계로 에너지 절감과 건물의 유지관리에 효율을 기할 수 있는 것으로 입증됐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국토부와 LH공사는 보금자리주택을 포함한 공동주택 건설분야의 경쟁력 강화에 나서기로 한 것이다.   
이를 통해 BIM 활용 중장기 로드맵을 마련되고 공동주택의 BIM 설계 가이드라인과개선 사항, 그리고 국제표준과의 연계 방법 등이 제시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LH 주택설계총괄처 관계자는 “BIM 활성화를 위한 일종의 업무 지침서가 정부 주도로 마련되는 셈”이라며 “민간 건설기업이 해외발주자의 요구에 부응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BIM의 활성화가 조속히 정착돼야 하는 시점”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